전주제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정보통신 윤리교육(학부모) 가정통신문
작성자 서아람 등록일 24.05.21 조회수 31
첨부파일

 

스마트폰 과의존의 개념

과도한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으로 현저성이 증가하고사용에 대한 조절력이 감소하여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로 점수화하여연령대별 기준 점수에 따라 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일반사용자군으로 분류함

 

과의존이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은 개인의 건강 및 학업부모-자녀 갈등 및 관계 단절안전사고 등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영향의 유형

개 념

신체적 영향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근골격계(손목), 시각 및 청각 등 신체 건강 문제가 발생하거나 수면장애 등 일상생활 불편을 초래

·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높이보다 낮은 화면을 거북목처럼 목을 길게 빼는 자세로 오랫동안 내려다봄에 따라 생기는 증상으로 어깨통증과 두통목디스크 등이 발생(거북목 증후군)

· 손목터널 증후군뼈와 인대로 이루어진 작은 통로(손목터널)을 지나는 신경이 눌려 감각 이상이 오는 증상으로 손이 무감각해지고 타는 듯한 통증을 유발

· 안구건조증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해 생기는 질환으로 눈이 시리고이물감과 건조감 발생

· 전두엽 기능 저하 충동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기능이 저하되어 ADHD(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등 발생

· 디지털 치매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기억력과 계산능력 저하로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

심리적 영향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우울불안초조함 등 심리적 불안정 증상을 보이고심각한 경우 행동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충동성을 보이는 상태

· 주요우울장애(MDD)조증 혹은 경조증 삽화 없이 한 번 이상의 주요 우울증 삽화를 경험하는 심리적 장애

· 사회공포증(Social phobia)다른 사람 앞에서 당황하거나 실수하는 등의 불안을 경험한 뒤 같은 상황을 피하고 이 때문에 사회 활동에도 문제가 생기는 질환

· 강박장애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 행동(compulsion)을 보이는 강박 및 관련 장애의 대표 질환

관계행동적 영향

스마트폰에 빠져 친구 혹은 동료 간에 심한 갈등을 겪거나 심한 다툼이 발생하여 단절되는 등 대인관계 악영향 발생

· SNS나 가상세계의 인간관계를 가족친구 등 주변의 관계보다 더 소중히 여겨 주변 사람들에게 무관심하고 소홀하게 됨

· 게임 아이템 구입 등을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돈을 훔치고지능정보서비스 이용을 못하게 하면 폭력적이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함

·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학업과 생업에 소홀하여 성과 저하 발생

· 운전 및 보행 중에도 충동적으로 지능정보서비스를 사용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키거나 당하고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경험할 확률이 증가함

 

스마트폰 과의존 현황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전년대비 0.6%p감소했지만청소년은 매년 상승세를 지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94451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8pixel, 세로 451pixel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 202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4. 과의존 예방 단계별 가이드라인

단계

내 용

단계1

(R: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인식)

· 스마트폰 과의존청소년기의 신체·정신건강사회성 발달 그리고 안전에도 해로움

·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모든 연령 중 청소년(10~19)이 가장 높음

단계2

(E: 스마트폰 사용 상태 점검)

· 보호자와 아이 모두 평소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점검함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를 활용하여 사용습관을 확인스마트쉼센터 홈페이지(www.iapc.or.kr) → 과의존 진단」 또는 청소년 및 성인용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이용

단계3

(S: 바른 스마트폰 사용 실천방안 및 대안 제시)

※ 스마트폰 사용 실천 방안 및 대안 제시

· 아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 규칙을 정해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 아이가 스마트폰을 선용하고 디지털 활용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세요.

· 아이의 스마트폰 이용문화를 이해하고 온라인 활동에 참여공유해보세요.

· 아이에게 다양한 여가 사회 활동을 권장하고 함께 해주세요.

단계4

(T: 주변 사람과의 관계 형성 강화)

·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아이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 시킬 수 있음

아이의 발달단계에 따라 보호자-아이 간의 관계 양상도 변해야 함을 인식해야 함

기술 간섭(Technoference)으로부터 가족 관계를 보호해야 함

·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의례화하고공감을 토대로 소통함

아이 또는 자신이 스마트폰 과의존 상태라면 전문적인 심리 상담을 권장함

·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세상을 위해 따뜻한 관심과 실천이 필요함

아이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가 필요함

(아동 및 청소년6~19)

 

5. 가정에서 지도 시 유용한 자료

유관기관

대상

주요 내용

바로가기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학부모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해소사업 홍보자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9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2pixel, 세로 340pixel

청소년

온라인예방교육프로그램 인스탑

방송통신위원회·

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학부모

학부모·자녀 인터넷윤리 가이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9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5pixel, 세로 247pixel

경기평생교육학습관 부모숲번데기학교

학부모

스마트한 부모 되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9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6pixel, 세로 243pixel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스마트쉼센터

청소년학부모

청소년 및 보호자 대상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콘텐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89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6pixel, 세로 247pixel

<출처지능정보서비스 과의존 예방교육 업무매뉴얼>

 

 

 


이전글 2학년 수련활동 여행자보험 가입 동의
다음글 2024학년도 기초학력 향상도 검사 실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