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전일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학기 학부모 학교폭력예방교육
작성자 양지숙 등록일 25.09.12 조회수 47

          <건강한 또래관계를 위한 학부모의 역할>

사람과 사람이 함께 어울리는 관계를 최초로 접하는 곳은 바로 가정입니다. 가정에서 경험하는 최초의 관계는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원만한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자존감 향상뿐만 아니라 갈등 해결 능력, 협력하는 태도 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학부모는 중요한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첫째, 아이가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가정에서 기본적인 사회성을 길러줘야 합니다. 존중과 배려의 가치를 가르치고, 가정 내에서 올바른 의사소통 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며 대화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또래와의 관계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아이의 친구 관계를 관심있게 지켜보되, 과도한 개입은 피해야 합니다. 친구와의 갈등이 생겼을 때 섣불리 해결해주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특정 친구와의 교제를 지나치게 제한하거나 강요하기보다는 아이가 다양한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열린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부모 스스로 좋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부모가 건가한 사회생활을 하는 모습은 아이에게 훌륭한 본보기가 됩니다. 따뜻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며 아이는 자연스럽게 관계 형성의 원리를 배우게 됩니다.

자녀의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첫걸음

< 갈등을 이해하고 함께 해결하는 부모의 역할 >

김지형(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또래관계 갈등 유형

자녀의 감정과 또래관계를 이해하는 대화,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갈등이 생겼을 때 이렇게 도와주세요

1) 오해와 의사소통의 문제

말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거나, 상대의 의도를 오해하면서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감정을 숨기거나 공격적인 말투를 사용하는 경우, 작은 불만이 충돌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2) 성격과 가치관의 차이

외향성과 내향성, 적극성과 조심성처럼 성격 차이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나 문화적 배경의 차이도 거리감이나 갈등의 원인이 됩니다.

1) 감정을 세심하게 읽고 표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섭섭했구나’,‘무시당한 것처럼 느껴졌겠다처럼 구체적인 감정을 함께 짚어주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2) 오늘 누구랑 이야기 많이 했어?’처럼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질문을 통해 자녀의 또래관계를 자연스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그랬구나, 그런 말을 들으면 속상할 수 있지처럼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대화의 시작입니다.

2) 아이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그때 어떤 기분이 들었어?’‘지금은 어떤 생각이 들어?’ 등 감정과 상황을 정리하는 과정이 스스로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025912

전주전일초등학교장


이전글 학생 유괴 예방을 위한 학생·학부모 유의사항 안내
다음글 2025 완산 발명·메이커 2학기 교육 프로그램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