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군산교육지원청 로고이미지

칭찬합시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담당자: 행정지원과 총무담당,  전화번호: 063-450-2715


국립전주박물관 주말가족프로그램 "박물관은 놀이터" 참가안내
작성자 국립전주박물관 등록일 08.05.08 조회수 656

국립전주박물관에서는 우리지역 무형문화보유자와 함께하는 주말가족프로그램을 준비하였습니다.(매월 다른 주제와 보유자를 만나 전통문화체험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따사로운 5월을 맞아 박물관 뜰(야외공간)에서 우리소리에 대한 흥겨운 우리소리(풍물)와 악기를 체험 및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개요>


-5월 / 임실필봉농악(중요무형문화재 11-5호) 양진성 보유자

-운영일자: 2008년 둘째, 넷째 토요일( 5월 10일/24일(토))

-운영장소: 박물관 뜰(우천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가대상: 초등 동반 가족(오전/저학년, 오후/고학년)

-참가방법: 인터넷 접수(교육마당> 교육프로그램> 어린이/가족프로그램> 박물관은 놀이터)





기타 문의사항은 063-220-1016(luna79@museum.go.kr)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매월 둘째주, 넷째주 토요일, 주말가족프로그램에서 뵙겠습니다.




**임실필봉농악 소개(출처: 문화재청 홈페이지)


임실 필봉농악은 필봉리에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호남좌도농악에 속한다. 필봉마을에는 예로부터 당산굿·마당밟기 정도의 단순한 농악이 전승되어 왔는데, 오늘날과 같은 높은 수준이 된 것은 1920년경에 상쇠(패의 지도자 격으로 꽹과리를 가장 잘 치는 사람) 박학삼을 마을로 초빙하여 그의 농악을 배우면서부터라고 한다.


필봉농악의 농악수들은 흰 바지저고리에 남색조끼를 입고 삼색띠를 두르는데, 쇠잡이(꽹과리나 징을 치는 사람)만 상모(털이나 줄이 달린 농악에서 쓰는 모자)를 쓰며 나머지는 고깔을 쓴다. 농기, 용기(그릇), 영기(깃발), 긴 쇠나발, 사물(꽹과리, 징, 북, 장구), 법고(불교의식 때 쓰는 작은 북), 잡색(대포수, 창부<남자광대>, 양반, 조리중<삼태기를 맨 중>, 쇠채만 든 농구, 각시, 화동과 무동<사내아이>)으로 편성된다.


농악의 종류에는 섣달 그믐의 매굿, 정초의 마당밟기(풍물을 치며 집집마다 도는 것), 당산제굿(당산에서 마을을 위해 제사지낼 때 농악을 치며 노는 것), 보름굿과 징검다리에서 치는 노디굿, 걸궁굿, 문굿, 농사철의 두레굿, 기굿과 판굿이 있다. 이 중에서 판굿은 가장 예술성이 뛰어나다. 뒷굿에 편성되는 영산가락은 가진영산, 다드래기영산(상쇠가 부포시범을 보임), 미지기영산, 재넘기영산(상쇠가 쇠시범을 보임) 및 군영놀이영산(개인놀이와 비슷함)으로 매우 세분화되어 있고 느린 편이다.


임실 필봉농악은 쇠가락(농악의 대표격인 꽹과리 가락)의 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가락이 힘차고 씩씩하며, 개개인의 기교보다 단체의 화합과 단결을 중시한다. 예능보유자로 박형래가 인정되어 보전하고 있다.


이전글 전북도교육청의 모니터 제도 문제 많다
다음글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전면개방 규탄, 학교급식의 안전 철저한 관리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