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초등학교 로고이미지

학교앨범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4년 점심시간 포토보이스 활동
분류
작성자 김혜인 등록일 25.08.18 조회수 24
첨부파일

더 늦기 전에 올립니다.

 

작년에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덕분에 논문 투고를 고려하여 양식에 맞게 20페이지 넘게 작성했으나 제 개인의 연구 역량이 부족하여 결국 논문 투고는 하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활동이 저에겐 정말 의미가 있었으며(연구 역량도 길러주고, 결정적으로 제 석사논문 연구 주제를 선정하는데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졸업생들이 홈페이지 한 번씩 방문해 보고 싶은 동생들 근황을 보기도 하고, 작년에 활동에 참여한 아이들에게 완성된 글을 보여주기로 약속했었기 때문에 올립니다.

 

작년에 제가 대학원에서 배웠던 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 3학년 학생 ~ 올해 중학교 1학년이 된 작년 졸업생들과 함께 활동했습니다.

주제에 맞는 사진을 아이들이 직접 선정하고 사진에 어울리는 제목을 짓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당시 논문 제목은 아래와 같이 정했는데, 여기서부터 잘못 됐습니다. 

 

논문이 아닌 잘 쓴 상담기록이라는 피드백을 받았었습니다. 이유를 지금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공부, 배움, 가르침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학계에서 공식적인 의미 분석이 마쳐진 단어들이기 때문입니다.

 

2. 계획 설계를 잘못한 것이 됐습니다. 아이들을 처음부터 모두 참여시켰어야 하는데 중간에 더 많은 아이들을 참여시키고 싶어서 대상자를 확장시키고, 활동도 확장시키고 연구 계획을 마음대로 수정했습니다. 

 

※ 개나리 초등학교라고 나오는 것은 실제 논문 투고 시 학교명은 비공개 처리해야 해서 대체된 이름입니다.

 

 

 

아이들 이야기를 항목별로 개념화 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

여기서 등장하는 아이들의 말, 아이들이 직접 선정하고 의미를 부여한 사진들은 거짓 없이 아이들이 저에게 들려준 이야기들을 활용하여 작성했습니다.

1. 초등학교에서의 공부

  가. 공부란?

     1) 거치대 같은 겁니다. 


     2) 기억하고 사고하는 것

  나. 공부의 보람

     1) 커피를 알아서 카페 인수를 안함

 

    2) 아버지가 가방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

 

  다. 공부의 어려움

    1) 암기 때문에 싫어진 과학

 

 

    2) 졸리다

 

 

 2. 초등학교에서의 배움

  가. 배움이란?

     1) 선생님 말을 잘 듣자

     2) 고민 치료약


   ※ 아이들의 이런 답변 때문에 사회정서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을 생활지도 뿐만 아니라 수업을 통해서도 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됨


  나. 가장 기억에 남는 배움은?

     1) 워터파크

   ※ 별밤이라던지 오케스트라 캠프라던지 마을봉사라던지 답변을 기대했었습니다.

      그래도 이 부분에서 연구활동에 참여한 아이들이 성실히 답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나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2) 선생님, 저 밥 먹었어요. 빨리요!


  다. 배움의 어려움은?

     1) 더하기 빼기까지는 기억 나는데


     2) 유치원에서는

   ※ 부연설명을 하자면 유치원 때는 먹는 것, 친구들과 놀이하는 것, 배변 활동 등 뭐든지 잘하면 칭찬 받을 수 있어서 그 시절이 그립다는 느낌이었음.


 3. 초등학교에서의 가르침

  가. 가르침이란?

      1) 마미

      2) 귀신

  나. 가르침의 보람

      1) 극과 극의 표현: 혼자만 밝은 선생님 / 좀비

   ※ 좀비라고 표현한 학생들은 공부나 숙제 있을 때, 애들이 말을 안 들을 때 잠을 못 자서 눈 밑이 퀭하게 출근해서 그렇다고 했습니다.

   ※ 선생님도 힘들 땐 힘이 없기도 하고 뜻대로 잘 안 풀리면 잘 울기도 한다고 이야기 해줬더니 놀랬습니다.


      2) 신입사원 이게먼지의 모험

  ※ 아이들이 동생들을 직접 가르쳐보도록 했던 활동은 진로 교육 차원에서도 영향을 미친 듯 합니다.


  다. 가르침의 어려움

      1) 가지마세요

      2) 나 안해!

 

일일 교사를 맡았던 학생들은 선생님들이 이렇게 힘든지 몰랐다고 했습니다.

안 한다고 했었던 학생, 실제로는 끝까지 책임감 있게 연장 수업까지 했고, 동생들이 너무 잘 가르친다고, OO이 오빠한테 수업 또 해달라고 말해달라고, 정말 재밌었다고 했었습니다.

------------------------------------------------------


끝으로,

연구활동에 참여해서 선생님이 연구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반 년 동안 도움을 준 학생들 고마워요 ^^

--------------------------------------------------------

이전글 1학년, 2학년, 5학년 보건수업 사진/여름방학 준비
다음글 7.4 여름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