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부천중학교 로고이미지

체육/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 주의!
작성자 정현의 등록일 19.07.01 조회수 108

구분

유행성각결막염(EKC)

급성출혈성결막염(AHC)

병원체

아데노바이러스(주로 8, 19, 37)

엔테로바이러스 70

콕사키바이러스 A24 variant

전파

경로

1. 직접 신체적 접촉: 눈 분비물 등

2. 개인용품을 통한 간접 접촉: 수건, 침구물, 세면기구 등

3. 수영장 등 물을 통한전파

발생

현황

산발성유행성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510년 주기로 유행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잠복기

주요

증상

잠복기: 57

주요 증상

1. 눈곱, 이물감, 눈꺼풀 부종, 양안의 충혈, 동통, 눈물, 눈부심

2. 결막하 출혈

3.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

4. 34주 지속됨

잠복기: 8시간2

주요 증상

1. 갑작스러운 이물감, 충혈, 눈부심, 눈물이 주 증상

2. 안검부종, 결막부종, 결막여포, 상피결막염

3. 결막하 출혈반이 7090%에서 발생

4. 결막하 출혈은 712일에 걸쳐 점차 흡수됨

5.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이 있을 수 있음

전염력

발병 2주 정도까지 전염력이 있음

증상발생 후 적어도 4일간 전염력 있음

등교중지

(격리)

격리없이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권장

합병증

각막 상피 하 혼탁이 남아 심해지는 경우 시력저하가 생길 수 있음

결막에 분비된 눈물보조세포나 점액분비세포가 바이러스나 염증에 손상을 입으면서 안구건조증 발생
(보통 6개월 지속)

그 외 영구적인 결막반흔, 눈꺼풀 처짐, 눈꺼풀과 결막의 유착

결막염을 앓은 수 주 후에 사지마비 또는 뇌신경마비가 드물게 일어날 수 있음

* 관련 감염병 : 수족구병

치료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는 없음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필요 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안약이나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제 안약을 점안할 수 있음

이전글 해외 여행 시 감염병 관련 유의사항!
다음글 주 감염병 정보!(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인플루엔자, 수족구병, 일본뇌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