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은 질병입니다. 금연은 치료입니다. |
|||||
---|---|---|---|---|---|
작성자 | 정현의 | 등록일 | 18.11.16 | 조회수 | 155 |
첨부파일 | |||||
1. 담배의 성분 2. 담배로 인한 신체적 질환 *감각계: 백내장, 실명, 후각 손상, 난청, 중이염 등 *구강계: 입냄새, 미각손상, 치주질환 등 *호흡기계: 만성폐쇄성 폐질환, 만성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 *순환기계: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증, 냉족, 심부정맥혈전증, 버거씨병(동맥염증), 말초혈관질환 *소화기계: 소화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 *신경계: 뇌졸중, 중독 / 금단 증상 *골격계: 골다공증, 허리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생식기계: 발기부전 등 남성 성기능 장애, 조기 난소부전, 조기폐경, 생리통 등 3. 흡연과 임신의 연관성 어머니가 흡연 시 -> 태반을 통해 담배 속에 있는 수천 여가지의 발암, 화학물질이 태아에게 전달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박, 조기 양막파열, 조산, 유산, 자궁외 임신 등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성장저하, 사산, 폐기능 저하, 천식 악화, 폐성장 장애 등 4. 간접흡연 - 3차 간접흡연 흡연 할 때 발생하는 독성물질 중 가스형태의 화학물질은 벽, 가구, 옷, 장난감, 집먼지 등의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의 흡착은 비교적 빠른 시간에 이루어지는데 반해 한 번 달라붙은 화학물질은 몇 시간에서 몇 달까지 장기간 공기 중으로 다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흡연이 끝난 이후에도 실내 환경에서 장시간 흡연을 통한 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를 3차 간접흡연이라고 합니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추정치 <출처: 한국금연운동협의회> 5. 금연을 위한 국가의 노력 *담배값 인상 *금연구역 확대 지정(국민건강증진법 제34조 "금연구역에서 흡연 시 과태료 10만원 부과") -2018년 12월 31일부터 전국 약 5만여 곳에 달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시설의 경계선으로부터 10m이내 구역 금연구역 설정 *흡연예방 및 금연 홍보, 캠페인 실시 *담배 광고 및 판촉 제한
6. 담뱃갑 포장규제 *담배성분 표기 의무화 *흡연경고 문구 표시 의무화(앞/뒷면 표기) *금연상담전화번호(1544-9030)표기 의무화 *경고그림 삽입 의무화(2016년 12월 23일 첫 도입, 2018년 12월 23일 새로운 경고그림 도입) <출처: 금연길라잡이> |
이전글 | 겨울철 저온화상 주의보!! |
---|---|
다음글 | <10, 11월 감염병 감시 정보>결핵,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성홍열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