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상징

교표

  • 교목 소나무 사진

교목: 소나무

  • 교화 철쭉 사진
  • 솔 ㆍ솔나무ㆍ소오리나무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송(松)·적송(赤松)·송목·송수·송송이라 한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단일화서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띠며 갈색으로 익는다. 잎은 각기 소화불량 또는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아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건축재ㆍ펄프용재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ㆍ 니스용재ㆍ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교화 : 홍도화

  • 교조 까치 사진
  • 옛부터 매화와 함께 즐겨 심어온 정원수의 하나로서 정원수이다. 정원수로 심을때는 가득히 꽃피므로 그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단식하는 것이 좋다. 유원지나 공원, 큰 정원에서는 군식하는 것도 좋다. 이른 봄의 꽃꽃이 소재로써 절화로 촉성개화시켜 3월에 출하하기도 하고 분재로도 많이 심는다.

교조 : 까치

  • 교조 까치 사진
  • 날개길이 19~22cm 정도로 까마귀보다 조금 작은데, 꽁지가 길어서 26cm에 이른다. 어깨 ㆍ배ㆍ 허리는 백색이고 머리에서 등까지는 금속광택이 있는 흑색이다. 암수가 같은 빛깔이다. 둥지를 중심으로 한 곳에서 사철을 사는 텃새로서 둥지는 촌락 가까운 큰 나무 위에 마른 가지를 모아 지름 1 m쯤의 구형(捄形)으로 짓고 측면에 출입구를 만든다. 둥지는 해마다 같은 것을 수리해서 쓰기 때문에 점점 커진다. 봄에 암갈색의 반점이 있는 담녹색의 알을 5~6개 낳는다. 잠식성으로서 쥐 따위의 작은 동물이나 곤충과 나무 열매ㆍ 곡물ㆍ 감자 ㆍ고구마 등을 먹는다. 임목의 해충을 잡아 먹는 악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