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왜 감기에 잘 걸일까요? 많은 원인이 있지만 그 중 실내가 건조한 환경 때문입니다. 감기바이러스는 공기 중의 습도가 20~30%정도 되는 곳에서 활동이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습도가 낮은 겨울에 사람들이 감기에 잘 걸리는 것입니다. 사람의 코나 목은 습기가 많은 점막으로 되어 있는데, 겨울철 건조기에는 이 점막도 마르게 되어 감기 바이러스가 쉽게 침범하게 됩니다. 감기를 예방하려면 물통을 가지고 다니며 평소에 물을 자주 많이 마시고, 가습기 등으로 실내 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실내는 난방으로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 춥다고 문을 닫고 있으면 산소는 더욱 부족하게 되지요. 여기에 두꺼운 겨울옷의 털 먼지 등이 쌓이면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다소 춥더라도 건강을 위해 쉬는 시간마다 교실 창문을 활짝 열어 신선한 공기로 바꿀 수 있도록 환기를 꼭 시켜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