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민주항쟁기념일 |
|||||
---|---|---|---|---|---|
작성자 | *** | 등록일 | 22.06.09 | 조회수 | 170 |
첨부파일 | |||||
6월 민주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 한국 민주주의 도약의 계기가 된 6월 항쟁을 기억하고 민주주의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 목적이다. 날짜는 매년 6월 10일로, 6·10 국민대회가 전개된 1987년 6월 10일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2007년 5월 2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다. 매년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전국에서 기념사업을 진행한다.
제정의 배경1987년 봄, 그해 12월에 시행될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제5공화국의 대통령 간선제에 대한 비판과 직선제 개헌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를 거부하고 시국 혼란을 이유로 일체의 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4·13호헌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던 중, 5월 18일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정권에 의해 조작·은폐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서울대 학생 박종철을 불법 체포해 고문하다 사망케 한 이 사건은 6월 항쟁의 계기가 되었다. 5월 27일 야당과 종교 단체, 재야 세력 등은 민주화 요구 결집을 위해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를 발족했다. 전국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이어지던 가운데 6월 9일 시위에 참여한 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경찰이 던진 최루탄에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6월 10일 국본은 권력에 의한 고문과 불법 연행 등의 추방과 진상 규명, 4·13 호헌 무효화 등을 요구하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은폐 조작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대회(6·10 국민대회)’를 열었다. 같은 날 서울과 광주, 부산, 대전 등 전국 20개 이상의 도시에서 6·10 국민대회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생과 시민들을 중심으로 하루에도 여러 차례 시위가 전개되었다. 6·10 국민대회 이후 전국에서 거의 매일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다. 특히 26일에는 전국 30여 개 이상 도시에서 100만여 명이 시위에 참여해 전두환 정권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결국, 6월 29일 노태우가 민정당 대표로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선거법 개정, 김대중 사면 등을 공식 약속하였다. 6월 항쟁은 학생과 노동자, 농어민 등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대통령 직선제를 끌어낸 민주화 운동으로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 시민운동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황이날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6.10 민주항쟁 기념식이 거행되며, 민주화운동기념사헙회와 여러 관련 단체에서 기념식, 사진전, 작품전, 강연회, 문화제 등이 펼쳐진다. 2019년의 제32회 기념식은 특히 과거 국가폭력과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장소였던 남영동 대공분실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한 장소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5·18과 함께 민주화 운동의 민족사적 지표로 여러 차례 헌법 개정안에 포함되었다. |
이전글 | 중학생 영어희망캠프 1차 추천 계획 |
---|---|
다음글 | 6월은 호국보훈의 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