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남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수칙(7.13~7.17. 학교급식 식재료 원산지 및 영양표시)
작성자 송명희 등록일 20.06.26 조회수 137
첨부파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 수칙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제대로 익히지 않은 소고기나 오염된 식품이나 등을 통해

 

   감염되며,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가 동반되고, 설사는

 

   수양성에서 혈성 설사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임.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예방수칙>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 한다

 

   - 흐르는 물에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

 

   - 외출 후, 화장실을 다녀온 뒤, 조리 전,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유아를 돌본

 

      뒤, 더러운 옷이나 리넨을 취급 후 등

 

안전한 음식 섭취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 비살균 우유, 날 육류 등은 피하고, 소고기는 중심 온도가 72도 이상으로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기

 

  - 조리도구(채소용, 고기용, 생선용)는 구분하여 사용하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음식을 조리 및 준비 금지

 

, 호수 수영장에서 수영할 때, 강물, 호수 물, 수영장물 마시지 않기

 

 

- 장출혈성대장균에 대한 질의응답 -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무엇인가요?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증상은 무엇인가요?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의 증상과 설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설사는 경증, 수양성 설사에서 혈성 설사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증상은 57일간 지속된 후 대체로 호전됩니다. 그러나 용혈성요독증후군 합병증이 나타날 경우,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오염된 식품, 물을 통하여 감염되며 사람사람 간 전파도 중요한 전파경로 입니다. 대부분의 발생은 소고기로 가공된 음식물에 의하며 집단 발생은 조리가 충분치 않은 햄버거 섭취로 발생하는 예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예방 방법은 무엇인가요?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은 철저히 준수하고 육류 제품은 충분히 익혀 섭취하고, 날 것으로 섭취하는 야채류는 깨끗한 물로 잘 씻어 섭취해야 합니다.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수분 공급 및 전해질 교정을 통한 보존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용혈성요독 증후군 유발 위험으로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자료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이전글 식중독예방 수칙(7.20.~7.24. 학교급식 식재료 원산지 및 영양표시)
다음글 코로나19, 급식에티켓(7.6.~7.10. 학교급식 식재료 원산지 및 영양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