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7-8월 학교급식 식재료 원산지, 영양표시, 알레르기 표시
작성자 김윤희 등록일 19.07.03 조회수 163
첨부파일

여름철(6~8) 주요 발생 식중독균 예방 요령

* 여름철에는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캠필로박터에 의해 많이 발생(최근 5년 환자수 기준)

- 특히, 장염비브리오는 해수온도가 상승하는 6~8월에 집중 발생

원인균

주요 증상 등

주요 원인식품

예방법

병원성대장균 

 

(증상) 설사, 복통 등

(잠복기) 24~240시간

 

 

생채소, 생고기 등 완전히 조리하지 않은 식품

오염된 음용수

식재료는 깨끗이 씻어 바로 조리

음식물은 완전히 익혀먹기

고기는 중심온도가 751분 이상 가열 조리하기

생고기와 조리된 음식 구분하여 보관

사용한 조리도구는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세척, 열탕처리

30~35기온에서 병원성 대장균 1마리는 2시간 이내 백만마리까지 증식 가능

살모넬라

(증상) 설사, 발열 등

(잠복기) 6~72시간

돼지고기 등 생고기

살균되지 않은 우유

조리 시, 중심온도 751분 이상 가열 조리하기

달걀 만진 후에는 비누로 손 씻기

사용한 조리도구는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세척, 열탕처리

조리 후 60, 5이하 바로 보관

- 가능한 신속히 섭취하기

캠필로박터 

(증상) 설사, 발열 등

(잠복기) 24~240시간

 

날 것 혹은 덜 익은 가금류 등

살균되지 않은 우유

오염된 물 및 채소 과일

오염된 식품주방 기구에 의해 2차 감염 발생

생고기는 용기나 비닐에 보관

고기는 중심온도가 751분 이상 가열 조리하기

사용한 조리도구는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세척, 열탕처리

생고기 조리 후 비누로 손 씻기

증식 최적온도 42~43, 냉동 및 냉장 상태에서도 장시간 생존

장염비브리오 

(증상) 설사, 복통 등

(잠복기) 4~96시간

날 것 혹은 덜 익은 오염된 어패류

생선회

초밥 및 수산식품

신선한 어패류 구매 후 신속하게 냉장보관(5이하)

냉동 어패류는 해동하여 흐르는 수돗물로 2~3회 씻기

가급적 생식을 피하고 충분히 가열 후 먹기(851)

조리 전 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조리도구는 전처리용과 횟감용 으로 구분하여 사용

사용한 조리도구는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세척, 열탕처리

이전글 2019. 학교급식 만족도 조사 결과
다음글 7-8월 식단계획 및 소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