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백일해 전파 방지에 대한 안내 |
|||||
---|---|---|---|---|---|
작성자 | 이세정 | 등록일 | 23.11.29 | 조회수 | 199 |
첨부파일 |
|
||||
▶백일해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감염병 콧물, 재채기, 미열, 경미한 기침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발생→점진적으로 기침 심해짐 →1~2주가 경과하면 빠르고 잦은 기침 발생 - 심한 기침 발작 후 좁아진 성대를 통해 강하게 숨을 들이쉴 때 특징적인 높은 톤의 “웁(Whoop)” 소리 ▶예방접종의 중요성 자녀가 백일해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연령에 알맞은 백일해 포함 백신을 접종받도록 합니다. ▶자녀가 백일해에 걸렸거나 의심될 경우 1.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 내원하여 진료 및 검사를 받습니다. 2. 백일해를 진단받은 경우, 담임선생님과 보건교사에게 자녀가 백일해에 걸렸음을 알립니다. 3. 백일해 항생제 치료 중인 경우에는 치료 5일 후까지(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기침이 멈출 때까지 최소 한 3주 이상 격리)는 학교 등에서의 집단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등교를 하지 않고 자택 격리 치료 또 는 입원 치료를 받습니다. 4. 손 씻기를 자주하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에는 반드시 휴지를 사용하거나 손수건이나 옷으로 가리 도록 합니다. 5. 타액이나 호흡기 분비물 등으로 오염된 물건은 비눗물로 소독하여 사용합니다. |
이전글 | 2023년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급성 호흡기 감염증) 예방 안내 |
---|---|
다음글 |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안내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