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화학)

기존의 ‘과학영재부’라는 동아리는 학교를 대표 하는 동아리였음에도 불구하고 비커나 용액을 가지 고 실험을 계획하고 이론을 검증하는 실험을 하지 않고 주로 키트로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화학실이라는 곳에서 할 수 있는 많은 실험들 을 하고 싶어 하여 엔트로피라는 동아리를 재제하였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쓸모를 나타내는 물리 량이다. 열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고 열 에너지는 다른 에너지로 잘 변할 수 없다는 특징 때문에 엔트로피는 그대로 멈춰있거나 증가한다.

엔트로피 동아리는 그 동아리 명인 증가하는 엔트 로피처럼 동아리 부원들의 화학에 대한 호기심과 실험을 진행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실력이 증가한다 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17년 현재 가히 군여고 최고의 화학동아리로 부상하고 있다.


ENTROPY

황산구리 전기분해

이름 고다현 등록일 16.11.13 조회수 1244
첨부파일
1479023231619.jpeg (58.95KB) (다운횟수:51)
1479023234082.jpeg (96.97KB) (다운횟수:45)
1479023238910.jpeg (69.08KB) (다운횟수:81)
1479023241859.jpeg (95.28KB) (다운횟수:50)
1479023244149.jpeg (102.26KB) (다운횟수:63)
1479023246896.jpeg (111.18KB) (다운횟수:48)
1479023261773.jpeg (98.01KB) (다운횟수:41)
1479023271527.jpeg (101.21KB) (다운횟수:42)
1479023282829.jpeg (97.21KB) (다운횟수:36)
1479023294636.jpeg (80.11KB) (다운횟수:69)

황산구리 전기분해


1. 실험 이론


1) 이온

전하를 띤 입자로 (+)를 띠면 양이온, (-)를 띠면 음이온이다.


2) 금속의 안정성

안정된 금속은 (예를 들면 금, 은 등) 전자를 잃으려 하지 않고, 가능하면 순수한 상태로 계속 존재하려 한다. 불안정한 금속은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등) 빨리 전자를 잃고 이온상태로 존재하려 한다.

 

K >Ca >Na >Mg >Al >Zn >Fe >Ni >Sn >Pb >(H) >Cu >Hg >Ag >Pt >Au
 
쉽다 <- 이온화하기 -> 어렵다
어렵다 <- 환원되기 -> 쉽다      
낮다 <- 안정성 -> 높다    

 

아연이 구리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온이 되어 그 이온이 구리에 붙어 총 결과물이 구리와 황산아연이 된다.

 

2. 준비물


NaOH, 증류수, 비커, 건전지, 시험관 장갑, 점화기


3. 실험방법


1) 100ml에 황산구리 10g을 섞는다.

 

2) 전기공급기에 구리 플러스 아연 마이너스에 연결한다.

 

3) 전기공급기를 켠다 1분 동안

 

4) 변화를 관찰한다.

 

M = 용질의 몰 (mol)/용액의 부피 (L)

; 질량*10-3(g)/분자량

황산구리 : 1.5g/159 = 0.01×10¹

0.01×10-3/100×10-3= 0.1×10⁻⁴


4. 실험 결과


황산구리 수용액에 구리판과 아연판을 넣어 전류를 흘렸더니 갈색의 구리가 아연판에 달라붙고 달라붙지 못한 것은 수용액에 떠다녔다. 아연이 구리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온이 되어 그 이온이 구리에 붙어 총 결과물이 구리와 황산아연이 되었다.

 

이전글 나프탈렌, 아이오딘 분자결정 실험
다음글 물 전기 분해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