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는 기전여고 융합과학 동아리 VIEW입니다. VIEW는 View scIEnce Widely의 줄임말으로, 과학을 폭넓게 바라보며 구성원들이 스스로 실험을 계획하고 함께 탐구해가는 자율 주도형 동아리입니다. 분야에 제한을 두지 않은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여 과학적 호기심을 해소하고, 매년 교육청 자율주도동아리 활동과 과학 체험부스 운영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납땜 실험 |
|||||
---|---|---|---|---|---|
이름 | 임주향 | 등록일 | 19.12.29 | 조회수 | 36 |
납땜이란? 고체금속과 고체금속과의 사이에 그 어느 금속보다도 융점이 낮은 땜납을 녹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 접합시켜 땜질하는 것을 말한다.
납땜을 왜 해야 하나요? 납땜은 두개 이상의 금속간에 전류를 원활하게 흐르도록 고정시켜주며 충격이나 부식에도 오랜시간 보전할수 있어 대부분의 전자 제품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납땜 하는 방법 1. 부품의 다리를 구부려 기판 구멍에 끼운 다음, 기판을 거꾸로 뒤집는다. 부품의 다리를 밖으로 살짝 구부려 기판을 뒤집어도 부품이 안 빠지게 한다. 2. 본격적인 납땜에 앞서 부품 다리와 회로 기판 연결 부분에 인두팁을 1초 정도 대고 있으면서 납땜할 부분을 데운다. 이렇게 하면 납땜 주변부가 뜨거워져서 납을 대면 자연스럽게 녹아서 붙게 된다. 3. 인두팁을 대고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에 납을 천천히 대고, 납이 부품과 회로에 균일하게 덮이면 손을 뗀다. 부품 다리와 PCB의 회로에 땜납이 제대로 붙었는지 확인한다. 납은 인두팁에 바로 대지 말고 부품다리나 회로 쪽에 대야 한다. 뜨거운 인두팁에 납을 직접 대면 일명 냉납(cold-solder joint) 현상이 일어난다. 프로젝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실수다. 납땜은 열에 의한 작용이다. 납땜하는 부분과 주변부 온도가 균일하지 않으면 땜납이 제대로 골고루 붙지 않는다. 냉납이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연결부분이 느슨해지고 부식이 발생한다. 4. 땜납이 잘 퍼져서 붙었으면 손을 떼고, 납이 식어서 굳기를 1~2초 정도 기다린다. 납이 굳을 동안 부품을 건드리면 안 된다. 납땜 연결 부분이 오른쪽 사진처럼 매끄러워야 한다.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면 연결부를 다시 가열한 후에 납을 조금 더 붙인다. 5. 납땜이 끝났으면 부품 다리를 자른다. 보드 아래로 튀어나온 부품 다리 때문에 회로가 단락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부분 밖으로 나온 다리 여분을 바짝 자른다. 6. ?납땜 끝.
1) 일반적인 납땜 전기전자쪽에서 처음 접하게 되는 부품들은 대부분 DIP 형태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다리가 길쭉한 소자들에 해당합니다. 또한, 반도체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길쭉한 다리를 가지고 있는 소자들인데,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와 같은 소자들을 납땜할 때는 대부분 기판에 꽂아서 납땜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판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일반적인 납땜은 "기판에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끼우고, 납과 인두기를 가지고 고정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부품들이 끼워진 다음에는 각 핀들을 전선/래핑와이어를 이용해서 연결하게 됩니다.
사실, 각각의 소자마다 온도 뿐만 아니라 시간도 중요합니다. 마치, 전기 몇V에 얼마나 오래 노출되면 위험한가처럼, 소자들도 특정 온도에서 최대 몇 초까지 괜찮다는 스펙이 있습니다. 때문에, 아무리 적당한 온도의 인두기라도 오랫동안 소자에 대고 있으면 소자가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죠. 다양한 인두기가 있는데,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인두기는 몇십만원짜리도 많습니다. [출처] 납땜 하는 방법 / 납땜 강좌|작성자 오픈랩
|
이전글 | 나프탈렌 결정 실험 |
---|---|
다음글 | 링비행기만들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