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심리)

心連 , 深連 (심연)

21가지 마케팅 심리

이름 최정아 등록일 16.06.07 조회수 440

1. 스포츠카

 

 

    

스포츠카를 본 남성들은 사회적 지위 및 보상과 관련된 뇌 영역이 가장 활발하게 작동한다.

 

 

 

2. 환자

 

 

 

병실 창으로 자연풍경이 내다보일 때 환자들은 더 빨리 회복된다고 한다.

 

 

 

3. 방향

 

 

 

일반적으로 고객이 매장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보면 오른쪽 방향이 68%로 왼쪽의 8%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4. 소문

 

 

 

반복된 소문을 대할 때 더 친숙함을 느끼고 제시된 진술에 대한 친숙도는 신뢰도를 더 높게 한다.

 

 

 

5. 다이어트

 

 

 

지금까지 다이어트에 도움 되는 음식들을 잘 먹었으니 조금의 예외는 괜찮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모럴다이어트 심리이다.

 

 

 

6.

 

 

 

무인자판기에 누군가 날 지켜보고 있다는 사람 눈 이미지를 붙여놓자 매출이 3배 이상 늘었다.

 

 

 

7.소셜 미디어

 

 

 

사회적 자존감이 낮을수록, 열등감이 높을수록 소셜 미디어에 더욱 의존하고 고립공포감을 더욱 크게 느낀다고 한다.

 

 

 

8.엘레베이터

 

 

 

엘리베이터 안의 짧은 시간 동안의 행동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보다 자동적이고 본능적일 가능성이 높다.

 

 

 

9. 선택

      

 

 

소비자들은 선택사항이 많을 때 이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종종 인지적·편향적 행동을 취한다.

      

 

 

10. 머그컵

 

 

 

머그컵을 가진 사람이 가지지 않은 사람보다 머그컵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는데 이는 보유효과에 의한 손실회피성향이다.

 

 

 

11.티켓

 

 

 

스포츠경기 입장권의 적정가격으로 부유한 집단은 실제가격을 가난한 집단은 암표가격을 선택했다.

 

 

 

12. 로컬 푸드

 

 

 

가격할인 못지 않게 우리의 선택을 도와주는 것은 원산지이며 이를 원산지효과라고 부른다.

 

 

 

13. 로맨스 영화가 겨울에 개봉하는 이유

 

 

 

신체적 추위를 느낀 사람들은 심리적 따뜻함을 찾기 때문에 로맨스영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다.

 

 

 

14. 온라인 댓글의 수로 주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리뷰가 긍정적으로 늘어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반대로 부정적이라면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15. 싫어하는 브랜드를 사용하게 하는 법은 그 전에 그 브랜드를 인식시키는 것!

 

 

 

소비자가 복수의 제품을 서로 어울려 사용해야하는 경우, 동일한 브랜드 제품이 더 잘 어울릴 것이라 생각한다.

 

 

 

16. 고객은 자신이 특별하다고 느낄 때 지갑을 연다.

 

 

 

모든 사람에게 할인된 가격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추첨을 통해 할인된 가격을 제공했을 때, 구매율이 더 높았다.

 

 

 

17. 선반 가운데 놓인 상품이 더 잘 팔린다.

 

 

 

가로로 진열된 상품들 중 정중앙에 있는 브랜드가 왼쪽이나 오른쪽에 있는 상품보다 시선을 오래 끌고 선택가능성을 높인다.

 

 

 

18. 싼 물건과 함께 묶여 있으며 비싼 물건도 그 값이 떨어져 보인다.

 

 

 

서로 다른 제품들이 함께 묶여 있는 경우 가치를 판단할 때 각 제품의 가치를 더하기 보다 평균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19.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그가 몇 등인지 알려주면 된다.

 

 

 

독일의 한 도매업체가 창고 근로자들에게 성과와 임금 순위를 알려주었더니 평균 생산성이 6.8% 올랐다.

 

 

 

20. 약간의 소음은 창의력을 높인다. 하지만 그 소음은 동료의 말소리가 아니다.

 

 

 

소음이 들리면 추상적 인지 능력이 활성화되어 창의력이 향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동료의 말소리는 정보처리능력을 하락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1. 고객을 모방하면 제품 판매에 도움이 된다.

 

 

 

은근하게 고객의 말투와 행동을 모방하면 고객이 종업원에게 친근감을 느껴 구매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이전글 광고심리학
다음글 [M+팟캐스터] ‘영화의 심리학’ 영화라는 향신료로 버무려진 심리학이란 ‘건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