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및 생물심리학(Cognitive & Biological Psychology) |
|||||
---|---|---|---|---|---|
이름 | 이혜원 | 등록일 | 15.11.19 | 조회수 | 529 |
인지 및 생물심리학 (Cognitive & Biological Psychology) 인간이 정보를 받아들이고, 걸러내고, 저장하고, 판단하고, 의사를 결정하는 등 일상적이지만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작용∙원리를 실험∙가설검증을 통해 답을 구하고자 하는 분야.
인지∙생물심리학 (Cognitive & Biological Psychology) 지각 - 어떻게 감각기관으로 감각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어떻게 통합하여 해석하는가. 형태재인 - 어떤 과정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감각정보와 기억 속 정보를 대조하여 대상을 인식하는가. 주의 - 엄청난 양의 정보 중 특정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더욱 정교하게 처리하는 ‘주의‘의 원리와, 이러한 과정이 기억∙정서∙동기 등의 인지과정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가. 의식 - 현실에서 체험하는 사고∙감각 등의 정신과정 중 어디까지가 ‘자각’할 수 있는 체험인지, 주의∙기억∙학습 등의 인지과정과 의식간의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학습 - 연습이나 경험에 의해 지식과 행동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변화∙유지되는가. 개념적 사고 - 어떻게 우리가 사물∙관념의 공통된 속성을 묶어 어떤 구조로 분류하고, 범주화하고, 구별하는가. 기억 - 입력되는 정보가 어떻게 저장∙인출되는지, 기억의 구조와 체계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우리의 머리 속 정보처리과정의 특성은 무엇인지. 언어의 이해∙산출 - 우리가 어떻게 말과 글을 이해하고 해석하는지, 축적된 지식과 언어 이해와의 관계는 어떤지, 어떤 과정을 통해 생각을 말과 글로 산출하는가. 문제해결 - 과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어떻게 탐색하는지, 어떤 규칙과 전략을 형성하여 적용하는지, 이 과정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는 무엇인지. 추리∙판단∙결정 - 어떤 원리를 통해 알고 이있는 것을 바탕으로 불확실한 문제를 예측∙판단∙결정하는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정서와 인지 - 인지과정에서 정서의 개입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정서와 인지 중 어느 것이 우선으로 작용하는지, 지식∙언어∙기억과 정서관계는 어떠한지. 사회적 인지 - 타인에 대한 인상과 편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사회적 상황에 대한 기억∙지각∙귀인은 어떤지, 개인과 집단의 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신경인지 - 인간의 신경생물학적 구조의 특성은 무엇인지, 뇌∙신경계의 작용이 어떻게 인간의 마음과 행동, 즉 인지과정과 행동으로 이어지는지. 응용 인지심리∙인지공학 -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의 원리는 어떠한지, 하드웨어, 웹 등의 소프트웨어 이용 시 편의성과 인지적 효율을 어떻게 증진시킬지. |
이전글 | 문화∙사회문제심리학(Culture & Social Issues Psychology) |
---|---|
다음글 | 발달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