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UN기자단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기전UN기자단은 우리 주변의 작은 사건부터 국제적인 큰 사건까지 평소에 관심은 있어도 자세히는 몰랐던 일들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도전하는 동아리입니다.
작게는 국내이슈부터 크게는 기아,폭력,환경 문제까지 생각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작게나마 행동하는 동아리!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도 함께 모이면 할 수 있습니다."
종합편성채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
|||||
---|---|---|---|---|---|
이름 | 김민정 | 등록일 | 12.11.20 | 조회수 | 759 |
종합편성채널, 널 알고 싶어! 요즘 방송 채널을 놓고 사람들의 갑론을박이 늘어나고 있다. '연예인 000 종편행으로 가나’, '000 PD 종편행 영입 제의 받아’라는 신문 기사 타이틀만 보더라도 종편행이라는 용어가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과연 종편이란 무엇인가. 종편이라는 말이 너무 흔하게 쓰이기에 정확한 의미도 모른 채 고개를 끄덕이곤 한다. 종편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명확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더불어, 종편은 지상파와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다른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넘어가는 게 중요한 시점이다.
[종합편성채널 출범 4개국]
종합편성채널, 넌 누구니? 종합편성채널은 쉽게 설명해 모든 장르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 나오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 모든 장르 속에는 영화, 음악,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포함한 방송을 말한다. 하지만,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등을 통해서만 송출된다는 점에서 지상파와 크게 다르다.
종합편성채널, 어느 별에서 시작 된거야? 종합편성채널 어떻게 진행되게 되었는지 그 과정부터 살펴보아야 할 것 같다. 2009년 7월 방송법, 신문법, IPTV법(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등의 미디어 법이 국회를 통과하게 된 후 신문사와 대기업이 종합편성채널 지분을 30%까지, IPTV는 49%까지 소유할 수 있게 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돈 많은 대기업과 신문사들이 종합편성채널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토대가 마련된 셈이었다.
종합편성채널, 유선방송·위성방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걸까? 종합편성채널이 생기기 전까지 많은 사람들이 위성방송이나 유선방송에 의존해 왔다. 종합편성채널은 기존의 유선방송, 위성방송과 다른 큰 차이점이 있다.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이라면 이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시청률,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까. 사람들과 방송국에서는 시청률을 중요시 한다. 아무리 작품성 높고 뛰어난 드라마라고 하더라도 대중에게 인정받지 못하면 그 드라마는 사장된다. 물론, 마니아 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 하지만, 이로보나 저로보나 시청률은 방송계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시청률이 잘 나오는 프로그램은 광고가 많이 붙게 되어 있고, 그 광고는 방송국의 유지에 큰 힘을 싣기 때문이다.
[1월 넷째 주 전후 기준]
보통 지상파와 종편 시청률을 비교할 때는 백분율로 10배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좋다. 예를 들면, 지상파의 드라마 시청률이 25% 넘어가면 소위 대박 드라마라는 말을 한다. 그렇다면 종편행에서는 어느 정도로 보면 될까. 종편의 대박 드라마 시청률은 대략 1.5%~2%사이라고 보면 좋겠다.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역시 지상파는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시청할 수 있기에 그러하고, 종편 같은 경우는 유성이나 위성을 신청해야만 유료로 시청할 수 있기에 이런 차이가 생긴다. 종편행의 앞으로의 행보가 어떻게 될 지 시청률을 통해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
종합편성채널, 약일까 독일까?
우선 장점은 안정적이고 버라이어티한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개국한 4개의 종합편성채널은 오랜 역사를 가진 언론사로서 기술과 자본을 축척해 왔다. 자금 면에서 탄탄하기에 여러 가지 시도와 투자를 할 수 있다. 이런 투자로 프로그램이 다양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고,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얻게 된 셈이다. 또 하나는, 드라마나 스포츠 중계 등 방송 시청은 물론 영화 감상이나 홈쇼핑, 교육, 인터넷뱅킹, 정보 검색 등을 TV와 리모컨 하나로 컨트롤 할 수 있게 되었고, 글로벌 네트워크도 탄탄해져 그동안 접근하지 못했던 아시아와 유럽 등의 다양한 방송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된 점이다.
[(좌)jtbc 편성표, (우)KBS 편성표]
하지만 단점 또한 있다. 바로 광고 문제다. 종편채널은 24시간 방송을 하고 중간 광고도 가능하지만 지상파 방송은 위 편성표에서도 살펴보았지만, 새벽 1시부터 6시까지의 심야 방송은 금지 되어 있고, 한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까지는 중간 광고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지상파 방송은 절대 시청시간이 줄면서 채널 충성도가 떨어지게 되었다. 국내 광고주들은 종편채널로 눈을 돌리게 되었으며 종편은 중간광고, 토막광고, 자막 광고 등을 통해 방송 광고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게 되었다. 이것이 종편이 갖게 된 가장 유리한 특혜이자 지상파가 광고주에게 밀리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방송 시간도 그렇다. 지상파는 새벽 6시부터 총 19시간이 방송시간이지만, 종편채널은 24시간 방송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청소년들이 유해 환경에 너무 많이 노출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부모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가 곳곳에 생기게 된 것이다. 청소년을 위한 유해 방지 프로그램이 확산 되어야 할 시점이다.
종합편성채널, 어떻게 수용해야 할까. |
이전글 | 판사의 sns사용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
---|---|
다음글 | 중국 우주도킹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