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UN기자단

기전UN기자단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기전UN기자단은 우리 주변의 작은 사건부터 국제적인 큰 사건까지 평소에 관심은 있어도 자세히는 몰랐던 일들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도전하는 동아리입니다.

작게는 국내이슈부터 크게는 기아,폭력,환경 문제까지 생각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작게나마 행동하는 동아리!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도 함께 모이면 할 수 있습니다."

역대 un 사무총장.

이름 박채영 등록일 12.11.20 조회수 737
역대 UN사무총장(1-7대)

`세계의 CEO(최고경영자)` `지구촌 재상(宰相)`으로 불리는 유엔 사무총장 임기 5년, 재선이 가능

역대 사무총장은 유럽과 백인이 중심이었습니다.

제6대 사무총장을 지낸 이집트의 부트로스 갈리(Boutros-Ghali,1992.1∼1996.12) 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모두 재선에 성공했으며 3회 연임한 사무총장은 없었습니다.

사무총장 선출은 그간 미묘한 국제 역학관계에 기초한 `대륙별 안배 원칙`이 불 문율처럼 지켜져 왔습니다.

초기에는 지역순환 원칙이 없었지만 3대 미얀마의 우탄트(U-Thant, 1961.11∼19 71.12) 사무총장부터 아시아(3대)→구주(4대)→미주(5대)→아프리카(6,7대) 등 지역 별 교대 수임(受任) 원칙이 지켜져왔다.

역대 총장의 면면이 강대국의 이해를 거스르지 않는 약소국 출신인 것도 눈여겨 볼 만합니다. 강대국 출신의 사무총장이 없는 것이죠.

초대 사무총장

트리그브 할브단 리(Trygve Halvdan Lie, 1946.2~1953.4 노르웨이 )

그는 1950년 10월 재선에 도전했지만 소련이 UN의 한국전 개입에 대한 그의 지 지를 문제삼아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 유엔 총회 결의를 통해 임기를 3년 연장할 수 있었다.

2대 사무총장

다그 함마슐트(Dag Hammarskjold, 1953.4∼1961.9 스웨덴)

몸을 사리지 않고 분쟁지역들을 돌며 적극적인 중재를 시도, 유엔 사무총장의 권위를 높였다는 평을 받았다.

그는 1961년 콩고 내전을 중재하러 가다 비행기가 추락해 숨졌다.

그는 사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3대 사무총장은

우탄트(U Thant, 1961-71미얀마 첫 아시아 출신)

우탄트는 사무총장직을 "지구상에서 가장 변화무쌍하고 도전적인 정 치직업"이라고 자평한 적이 있다.

4대 사무총장

쿠르트 발트하임(Kurt Waldheim, 1972.1∼1981.12 오스트리아)

5대 사무총장

하비에르 페레스 데 케아르(Javier Perez de Cuellar, 1982.1∼1991.12 페루)

6대 사무총장

트로스 갈리(1992-96, Boutros-Ghali, 이집트) 사무총장이 으로 연임에 나섰지만 안보리 이사국 15개국 중 14개국의 지지를 확보하고도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재선의 꿈을 이루지 못한 첫 사무총장이 됐다.

7대 사무총장

코피 아난 (1997-2006, Kofi Annan, 아프리카의 가나) 출신으로 "가나가 미국의 입김을 크 게 받고있다"는 인식 때문에 프랑스가 강력히 반대했으나 막판에 찬성함으로써 사무 총장에 선출 됐었다.

반기문 외교장관은 8대 총장이다.

 

이전글 UN경제사회이사회
다음글 비폭력추구합시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