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토론부

기전여고 사회토론부 A.O(Approve Opposite) 의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O는 정치, 경제, 문화, 방송, 환경 등 다방면에서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주제로 논의하고 토론하는 동아리입니다.

<사설> 학생부종합전형, 속도 조절 필요하다

이름 이아현 등록일 16.07.18 조회수 897
학생부종합전형이 대학입시의 대세로 떠오르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2018학년도 대입에서 학종 선발인원은 4년제 대학 입학정원 대비 23.6%지만 서울시내 15개 주요 대학으로 한정하면 40%를 넘고, 고려대는 61.5%, 서울대는 79%에 이를 만큼 대입을 주도하고 있다.
 
문제는 학종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시각 차가 극명하다는 점이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종이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교사는 76.6%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학부모는 18.9%에 불과했다.
 
교사들은 학종이 교육과정 다양화를 통해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수능에 전념했던 교실이 발표와 토론 등으로 활력이 넘치는 모습으로 달라졌다고 한다.
 
반면 학부모들은 학종의 신뢰성과 학업 부담에 고민하고 있다. 학종의 핵심 평가 요소인 학생부 비교과 영역의 평가기준이 모호하고 동아리, 진로, 독서, 봉사 등 다양한 활동도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학부모종합전형’이란 말까지 생겨날 정도다.
 
급히 먹은 떡은 체하기 마련이다. 학종의 급격한 확대는 긍정적 변화 못지않게 부작용을 초래한다. 학생 참여형의 창의적 수업으로의 변화를 요구받는 교사들은 막막하다. 학종 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어려운 학교는 답답하다. 
 
평가 기준과 합격·불합격 자료 등 구체적 정보가 없는 학부모들은 학종을 넘어 학교와 교사를 불신하고 속만 태운다.
 
학종으로 인한 부작용은 예산 지원을 무기로 전형 확대를 유도한 교육 당국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 어떤 교육정책도 이해당사자들 간의 이해와 소통이 없으면 결국 실패한다. 
 
교육 당국은 학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부터 마련하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서야 한다.
이전글 <시론> 인성교육이 나아갈 방향
다음글 <사설> 무자격 교장공모제 폐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