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교(봉사)

애교(愛敎) - 가르침을 사랑하는 학생들의 동아리

1학년

- 나예진, 박효민, 서지연, 설지연, 유다연, 육주현, 최담희, 최현주

2학년 

- 강다선, 공현서, 박슬기, 백지연, 오지은, 유아연, 황선주
3학년 
애교(愛敎) - 가르침을 사랑하는 학생 동아리

10313 엄희은

이름 엄희은 등록일 21.04.05 조회수 67

2021.3.24 

주제-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길어지고 있는데 이 비대면의 수업의 장단점과 앞으로 미래에 어떻게 해야 효과적일 것인가

 

제목- 비대면 수업의 장단점과 미래 계획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이어지면서 정상적인 수업이 잘 진행되고 있지 않다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반복 학습을 할수 있다는 점인거 같다코로나 이후에도 대면수업과 온라인을 같이 하면 더 효율적으로 공부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코로나로 인해 교육 형태 완전히  변화 되었다. 자기주도 학습이 잘안되는 학생들은 집에서 공부할때 학부모가 교육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영상에서 2021 교육계 과제 키워드를 설명하고 있다.1. 디지털 교육의추세 - 맞춤형 교육호주에서는 로봇과 함께 영어, 코딩을 배우고 홀로렌즈를 사용해 수업을 한다. 홀로 렌즈는 가상현실을 보여준다미국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이 진해되고 있는데 이것은 게임처럼 공부 하는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공부에 흥미가 없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로봇, 홀로렌즈나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해 수업해도 많은 도움이 될거같다.우리나라에서는 디지털 환경 지원과 초등 저학년에게 게임 통한 숫자 감각 향상을 실행하고 있다2020년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방치된다 라는 디지털 교육의 대한 우려가 많았고  온라인 수업에 질적으로 아쉽다는 반응이 많았다.충분한 학습이 되지 않은 학생이 많이 보여학습 과정 점검을 많이 해야한다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학습으로 대면 수업 소중함을 느꼈던 시간이었던거 같다.2. 공유와 협력-교사들의 커뮤니티 교사들의 협업으로 온라인 수업이 그나마 안정 되었다학습 격차 문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학교는 학생들의 필요 충족 해야한다소규모 학교가 늘어나고 있어 소규모 학교들 사이에  협력 필요하다3. 교육 안전망 확보 방안고교 무상 교육 실시하고  아이들에게 형평성 제공해야한다다문화 학생에게는 다양한 언어로 콘텐츠 제공하고장애 학생에게는 맞춤형 교육을 한다학습 격차는 개인별과 지역별 격차로 인해 생긴다방안은 원격수업의 질 높이는 것 이라고 볼수 있다특히 기초가 안되는 학생에게는 1대 1 맞춤형 지도를 하고기초학력 보장 방안을 교육부의 주요 과제 특별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하는데 3,6월에 시험을 봐 각가 학생들에게 맞는 맞춤형 지도을 한다  학교의 주요 기능은 소통이다.주도적으로 학생들의 자립 능력 향상하고 공통체의식 건전한 소통과학부모와 교사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

이전글 10618 이예랑
다음글 20622 한채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