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라(시사비평)

안녕하세요!

 

국내외 다양한 이슈를 함께 이야기하고, 깊이있는 토론을 나누는 동아리, 아고라 입니다.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서로의 생각을 나누며 시야를 넓히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함께 찾아갑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모의 국제 회의 조사(터키)

이름 서윤영 등록일 16.06.15 조회수 921

1. 터키의 수자원 관리

1.1 법적 기반

터키 민법(CC)에서는 수자원을 다음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있음:
A) 공공 수자원
○ 공공 수자원은 개인이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영역 이외의 수자원으로 국가 법규에 의거해
관리됨
- 공공 수자원의 관리와 이용은 공법(公法)에 의해 규정되어 있음

○ 터키에는 수자원과 관련한 다음과 같은 법률들이 있음:

1) 지하수 관련 법률 제 167호
- 1960년에 발효됨
- 터키의 지하수는 정부의 관리 하에 있으며 소유권 역시 정부에 있음
- 동 법은 주로 지하수의 연구, 배분, 이용, 보호 및 등록에 대해 다루고 있음

2) 법률 제 1053호
- 앙카라, 이스탄불 및 1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에 음용수 및 산업용수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 규정함
- 동 법을 통해 터키 국가수력발전사업(DSI) 총국은 1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터키 도시에 가정
용수 및 산업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책임을 위임받았음
- 동 법은 2007년 수정되었으며, 수정법에 따라 DSI 총국(DSI General Directorate)은 총 3,225개
의 도시에 가정용수 및 산업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책임을 최종적으로 위임받게 됨

3) 환경에 관한 법률 제 2872호
- 1983년에 최조 제정, 2006년 수정됨
- 동 법은 i) 환경보호 및 오염 예방을 위한 원칙, ii) 환경보호와 관련한 표준과 금지사항,
iii)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오염자에 대한 행정벌금 부과의 3가지 사항들에 대해
다루고 있음

4) 수질오염 통제에 관한 정관
- 법률 제 2872호의 내용에 따라 마련됨
- 수질을 보호하고 수질오염 예방을 위한 법적·기술적 사항들을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에 따라 결정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B) 사법 및 개인 소유권의 영역 내에 있는 수자원

○ 개인의 소유권 하에 있는 영역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수자원과 수원(水源)에
해당함
- 이러한 수자원의 소유권과 사용권은 CC에 명시되어 있으며 권리 증서를 등록해야 함(CC, A
674)

1.2 관련 기관

1) DSI
- DSI는 법령 제 6200호에 의거 1954년에 제정됨
- DSI는 합법적인 수자원 사업기관으로서 국가 수자원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주요 기관임
- DSI는 표층수 및 지하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터키의 수자원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설립되었음
- 터키의 모든 수자원은 同 법에 따라 관리됨

2) 터키 환경삼림부(MoEF)
-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법령 제 4856호에 따라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3) 전력자원조사개발청(EIE)
- 전력자원 조사 및 그것의 합리적인 사용을 위한 일들을 담당함

4) 특별지방행정기관(SPA)
- 법령 제5302호에 따라 터키 지방 주지사들의 후원 하에 운영됨
- 수자원 문제와 관련한 SPA의 책임 중 하나는 터키 농촌 지역에 음용수를 공급하는 일임

5) 터키 지방은행
- 터키 공공사업처리부(MPWS)의 제휴기관으로 지방은행에 관한 법령 제 4759호에 따른 도시
계획, 공공사업 및 지자체 음용수 공급 등의 일들을 담당함

6) 터키 도시자치단체
- 도시자치단체에 관한 법령 제 5216호에 따라 자체 재량을 가지고 있음
- 이 자치지구 내에서 지속가능한 개발과 조화를 이뤄 수자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

7) 이스탄불 수자원 및 하수처리 기관
- 법령 제 2560호에서 동 기관의 권한에 대해 명시하고 있음
- 동 기관은 각 도시자치단체에 속해 있으며 수자원을 보존하고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법적,
기술적, 행정적 조치를 취해야할 책임을 갖고 있음

8) 농업부(MARA)
- 터키의 토양, 물, 동식물, 수산자원 및 생산물들을 보호하고 개선시키며, 폐수가 어업 지역에 방출
되는 것을 통제하고, 법령 제 441호에 따라 담수와 지하수의 질산 수치를 감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일을 담당함

9) 보건부(MoH)
- 음용수의 표준을 정하고, 그러한 표준을 감시하며, 지역 법률을 마련함

10) 외무부(MoF)
- 터키 국경을 넘어 흐르는 하천과 관련한 모든 일들을 담당함

2. 터키 관개용수의 개발과 관리

○ 터키에서 경제적으로 관개(灌漑)할 수 있는 토지의 총 면적은 8.5 mha임
- 2008년 기준으로, 경제적으로 관개가 가능한 터키의 토지 중 5.28 mha에 관개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2023년까지 8.5 mha의 토지가 관개 개발될 계획임
- 터키 관수의 약 92%가 고랑과 같은 지표관개법(Surface Irrigation Methods)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머지 8%는 스프링클러를 사용한 살수관개법(Sprinkler Irrigation Methods)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관개시설의 운영 및 유지보수(O&M) 활동은 1990년대 초반까지 터키 정부에 의해 수행되었음
- 터키 정부기관은 관개시스템의 O&M 활동을 마을 기관, 지방 자치단체, 협동조합이나 물사용자
협회(WUA)와 같은 물소비기관(WUO)에 이전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
- 그러나 1993년까지는 DSI 총국만이 70,000 ha의 O&M 관개 시스템을 다양한 유형의 WUO에
양도할 수 있었음
- 관개 및 배수 인프라의 O&M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농부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서,
이러한 책임의 이전 방법은 1993년 이후부터 탄력을 받기 시작했음
- 그 결과, 현재까지 터키 관개 네트워크의 96%가 WUO에 의해 운명 및 관리되고 있음


3. 터키의 수자원과 환경

3.1 환경법률 제정 및 국제협약

○ 터키에서는 1930년대 이후부터 직간접적으로 환경과 관련한 법률들이 제정되기 시작하였으며,
환경과 관련한 조직 구조를 설립하기 위한 노력은 1970년대에 처음으로 시작됨
- 다양한 정부기관과 시 행정기관 사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터키 환경문제조정위원회가
설립되었음
- 1983년에 환경법이 제정되었으며, 그것을 발판으로 환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다른 법적인
규정들이 이후 제정되기 시작하였음
- 1991년에는 환경부(MoE)가 설립되었으며 그후 2003년에 환경삼림부(MoEF)로 재편되었음

○ MoEF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음
- 환경보호 및 환경오염 예방
-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원칙과 정책 확립
- 경제적이고 생태적인 필요조건을 기반으로 한 천연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바탕으로 환경계획
마련

○ 터키의 수자원 보호를 위한 가장 중요한 법적 제도 중 하나는 수질오염 통제에 관한 정관(By-
Law on Water Pollution Control)으로 그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지하수 및 표층수의 잠재용량을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수자원을 보호하는 것
-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원칙과 정책 확립
- 수질오염을 막기 위한 원칙을 확립하는 것
-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법적·기술적 표준들을 수립하는 것
- 오염원을 줄이기 위해 기술적·행정적 수준에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

○ 터키는 수자원 및 환경의 보호를 추구하는 다수의 국제협약 가맹국임
- 터키 정부는 베른협정(Bern Convention), 바젤협약(Basel Convention) 및 파리조약(Paris
Convention) 등에 서명하였음
- 터키는 또한 UNESCO, IUCN, WWF, NATUROPA, FAO, IPGRI, UNDP 등 환경보호와 관련한
다양한 국제조직의 회원국임
- 터키는 또한 1993년 이후부터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람사르협약
(Ramsar Convention)의 회원국이 되었음
- 람사르협약의 조건에 따라 터키의 Manyas 호수, Seyfe 호수, Burdur 호수, Sultan 갈대밭,
Goksu 삼각주, Gediz 삼각주, Akyatan 석호, Ulubat 호수 및 Kızılırmak 호수가 람사르
습지(람사르협약에 따라 보호받는 습지)로 등록됨

3.2 수질오염

A) 표층수 수질

○ 수질오염 통제에 관한 정관의 틀 내에서 가정용수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저수지 주변의 보호구역,
가정 및 산업폐수 방출 제한 및 생산녹지 보호 등과 관련한 법규들이 시행되고 있음

○ 터키 법규에서는 45개의 특질을 기초로 하여 수질 상태를 다음과 같은 4가지로 구분함:
- Class I (고 수질) : 가정용수로 사용
- Class II (약간 오염된 수질) : 수처리 후 가정용수로 사용
- Class III (오염된 수질) :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처리 후 사용
- Class IV (매우 오염된 수질)

○ 터키의 강 유역에서는 농업 및 산업 활동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수질 상태가 Class II
와 IV 사이임
- 터키의 관광 중심지가 위치한 유역에서의 현 수질상태는 양호함

B) 지하수 수질

○ 일반적으로 터키의 지하수와 관련한 주요 문제는 질보다는 양에 있음
- 터키의 지하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하수의 수질은 현 상태로서는 크게 오염
되지 않았음
- 터키에서는 지하수로의 직간접적 폐수 방출을 법적으로 금하고 있어 지하수 오염을 막는데 기여
하고 있음

○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가정 및 산업폐수와 농약 및 비료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관측되고 있음
- 이러한 오염된 지하수는 대부분 지층이 개방된 지역이나, 카르스트 대수층(Karst Aquifers)과
대수층에 급수를 하는 지역에 위치함
- 중앙 아나톨리아 지역(Central Anatolia Region)에서도 지질학적 조건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관측되고 있음
- 에게 해안지역(Aegean Coastal Zones과 지중해안 지역(Mediterranean Coastal Zones)
에서도 지하수의 과도한 개발과 해수의 유출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관측되고 있음

3.3 해양 및 해안 생태계

○ 터키는 해안 지방에서 산업 제품의 70~80%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터키의 해양 및
해안 환경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됨

○ 터키에는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협약, 규제, 수단을 통해 해양 및 해안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들이 영구적 효력을 가지며 취해지고 있음
- 범선 비상대응계획, 해안시설 비상대응계획, 지역 비상시 대응계획, 국가 비상시 대응계획 등
해양오염에 대비한 긴급대응 계획들이 마련되어 있음
- 또한 1975년 이후부터 UNEP/MAP의 지중해 오염 프로그램(MED POL) 하에서 지중해 및
에게해 연안지역의 오염을 감시?관찰하고 있음
- 가정 및 산업폐수, 강 어구 및 해양 오염에 아울러 적용되는 95개의 오염요인을 규정하고 82개의
생태지역을 지정함

이전글 의제 배경
다음글 모의 국제 회의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