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라(시사비평)

안녕하세요!

 

국내외 다양한 이슈를 함께 이야기하고, 깊이있는 토론을 나누는 동아리, 아고라 입니다.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서로의 생각을 나누며 시야를 넓히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함께 찾아갑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모의국제회의 조사

이름 서윤영 등록일 16.05.31 조회수 941
첨부파일
제목러시아, 수자원 관리 정책
국가러시아
분야 물환경
등록일2014-09-17
출처KOTRA
내용
1. 수자원 현황
 현재 러시아 전역에 4만개 이상의 물 공급시설이 있고, 2만개 가량의 정수처리장, 약 4,900개의 상수도 시설망
이 있음
 수자원 공급처리시설과 수자원 인프라 개선정책은 서부 러시아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현재 러시아 전체 인구
중 20 가까이는 제대로 된 상하수도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으로 파악됨

2. 수자원 관련 정부 부처
 수자원 관련 법규정책위생을 담당하는 4개의 정부조직 기관
 천연자원환경부
- 수자원 관련 정책 총괄 중앙부처
 연방수자원관리공사
- 수자원 관련 정부자산 관리, 관련 법규 시행 총괄 실무기관
 재경부
- 수자원 관련 요금 책정 담당 중앙부처
 질병관리본부
- 수자원 관련 위생검역질병관리 총괄 중앙부처
 지역별로 지방정부에 의해 설립돼 지방정부 관리하에 운영되고 있음
 지방정부 별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체질 개선이 필요한 상황

3.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
 인프라 노후화
 실제로 러시아 수자원 협회 전문가들은 수자원 부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인프라 노후화를 꼽고 있으며 시
급한 교체가 요구되는 파이프의 길이는 총 5만km로, 전체 수도관 길이의 1/3에 달하는 양임
 러시아는 현재 인구의 약 40 가량이 수질이 나쁜 물을 소비할 수 밖에 없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주원인으
로 공업용 하수의 90가 기준 수준까지 정화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러시아 수질은 상당히 나쁜 편이고 수처리 시설 또한 열악한 상황

4. 수자원관리를 위한 국가 전략

 수자원 관리를 위한 계획
 러시아 정부는 총 100억 달러 규모의 ‘수처리산업 현대화 프로그램’을 2011~2017년 까지 추진 중
- 사업 초기인 첫 3년간 우선 90억 루블(약 3억 달러)을 투자하겠다고 밝힌바 있음
- 하지만 중앙정부지방정부의 예산지원 부족으로 인해 실적 영향은 미미함
- 예산투입이 전체 비용의 1도 채 되지 않기 때문에 수처리 산업 인프라 개선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 물 수요 관리를 위한 계획
 깨끗한 중앙 상수도 공급을 위해 상하수에 대한 법률 및 기술법규 적용을 가속화하는 것이 시급함
- 상하수 관련 법적 기반을 구축하고 낡은 시설의 교체로 수질을 개선해야 함

5. 참고자료
1. TEN, “러시아 상하수도, 폐기물 등 환경시장 현황 및 전망”, 2013.12.17
2. KOTRA, “상하수도 시설, 새로운 블루오션 마켓-수처리산업(2)”, 2014.04.14
이전글 모의국제회의 의제 관련 조사
다음글 모의 국제 회의 참고 자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