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라(시사비평)

안녕하세요 전북 여고 토론 동아리 아고라입니다.

토론과 함께 쑥쑥 자라나는 자신감!
그 속에서 활짝 피어나는 넓은 세계관!
글로벌 시대에 꼭 필요한 토론 기술을 쌓고 배우는
차세대 동아리, '아고라' 입니다.^^


[15기 임아현] 빈곤퇴치방안 토론 자료조사

이름 임아현 등록일 24.06.27 조회수 1

소련이 공산주의로 국가경영을 해 보았으나 결국 독재적인 체제와 불합리한 경제 계획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붕괴하게 되었다.

경제적으로 소련은 심각한 침체를 경험했습니다. 소련의 계획경제는 효율성과 혁신을 저해했다. 중앙 집중식 계획은 생산과 유통에서의 비효율성을 초래 했고, 시장 경제와 경쟁력의 부족으로 인해 경제가 침체되고 말았던 것이다. 오랜 기간 독재체제를 유지하면서 정치적 부패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정치인들의 부패와 권력 독점은 심각한 인권침해와 사회적 불만을 야기시켰다. 국가의 불투명한 통치와 공권력의 남용은 사회의 불안정성을 증가시켰던 것이다.

 

또한 쿠바의 공산주의도 실패 사례에 해당한다. 쿠바의 공산주의는 1959년, 푸더 카스트로가 혁명을 이끌고 쿠바를 지배하기 시작한 이후에 실시되었다. 카스트로는 미국의 영향력에서 쿠바가 독립하고, 미국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로부터 쿠바를 해방하겠다는 신념으로 쿠바를 이끌었던 공산주의자였다. 카스트로가 이끈 쿠바의 공산주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쿠바는 중앙집중화된 경제 모델을 채택했다. 쿠바는 공산주의의 일환으로, 국가가 경제적 자원과 생산 수단을 통제하고 계획하는 중앙집중화된 경제 모델을 채택했다. 둘째, 쿠바는 산업시설과 농지를 국유화 하였다. 카스트로 정권은 국가가 주요 산업과 농지를 국유화하고 통제하기 시작했다. 이는 쿠바의 경제적 모델을 통제와 공유를 강조하는 공산주의 이념에 따랐던 것이다. 셋째, 쿠바는 무상 교육과 무료 건강 서비스를 실시했다. 쿠바의 공산주의는 무료 교육 및 보건 서비스를 보급하여 모든 시민에게 교육과 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했다. 카스트로 정권이 국민의 사회적 복지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국민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넷째, 쿠바는 개인의 인권이나 자유를 제한했다. 카스트로 정권은 국가의 안전과 공산주의의 안정성을 위해 강력한 통제를 유지했던 것이다.

 

이전글 15기 김하음 빈곤퇴치방안 자료조사
다음글 [15기 김희연] 1학기 독서토론 - 빈곤퇴치방안 자료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