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CosMos
BCM은 생명과학 분야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관련 지식을 탐구하는 동아리입니다.
- 메인 프로젝트 실험(장기) & 다양한 서브 프로젝트 실험(단기)
- 생명윤리 토론 및 토의
- 전주시 과학동아리 연합 CREA 활동
<2021.11.03> 혈액 원심 분리 |
|||||
---|---|---|---|---|---|
이름 | 박솔비 | 등록일 | 21.11.07 | 조회수 | 4708 |
첨부파일 |
|
||||
모세관을 이용하여 혈액을 빨아들인 후, 원심분리기에 돌려 혈액을 혈장과 혈구로 원심 분리 하였습니다. -> 모세관 현상이란? 가느다란 관을 액체 속에 세웠을 때 액체가 관을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표면 장력(액체의 표면이 스스로 수축하여 가능한 한 작은 면적을 취하려는 힘. 액체의 표면을 이루는 분자층에 의하여 생긴다.) 때문에 일어납니다. 액체가 관에 붙으려는 힘 > 액체끼리 붙어 있으려는 힘 일 때, 모세관 현상이 일어납니다. 관이 가늘수록 이러한 성질이 강해집니다.
이때 모세관에 혈액이 있는 쪽에 튜브 실링 컴파운드로 한쪽만 막습니다. 그 이유는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구성하는 물질의 질량에 따라 받는 원심력이 달라지는데, 그 구성 물질의 질량이 클수록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져 바깥쪽으로 침전되기 때문입니다.
혈액을 원심 분리하면 혈장(물, 단백질, 호르몬, 항체 등)과 혈구(적혈구)로 나뉘고, 혈장과 혈구 사이에 하얀색 층이 생기는데, 그 층에는 백혈구와 혈소판이 존재합니다.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원심 분리 후, 헤마토크릿 판독판으로 혈장, 혈구의 비율을 판독하여 빈혈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2021.11.06> Science Festival |
---|---|
다음글 | <2021.10.27> Science Festival 예비 실험, 미지 용액 pH 맞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