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6반

1. 등교 시각: 08:40

2. 등교하면서 휴대폰을 무음 또는 종료함

3. 담임 연락처: 0507-2017-1878 

   가. 08:30~16:30 (해당 시간 외에는 전화 시 부재 중 확인이 어렵습니다.)

   나. 문자메시지 가능 (간혹 문자메시지 지연 현상이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4. 학급 안내는 학급 홈페이지로 운영함 

 

  • 선생님 :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토론결과2

이름 김진휘 등록일 25.10.17 조회수 45

1. 찬반 팀 논리 요약

찬성 팀 (CCTV 설치 찬성)

핵심 논리: 학생과 교사 보호, 학교폭력 예방, 사고 증거 확보

  • 학교 폭력, 절도, 사고 등 문제 발생 시 증거 확보 가능 → 억울한 피해자 방지

  • 교사가 부재 시에도 사건 확인 가능 → 신속한 대응 및 공정한 판단 가능

  • CCTV 설치가 학생 행동을 조심하게 만들어 예방 효과

  • 분쟁 해결, 책임감 있는 행동 유도

  • 심리적 안정감 제공 (보호받는 느낌)

주요 근거/사례:

  • 사건 발생 시 객관적 증거 확보 가능 (김도현, 최재희, 이주현)

  • 학교 내 안전사고 대응과 신속한 문제 해결 (모승민, 유리)

  • 학생과 교사의 억울함 방지, 신뢰 있는 교실 환경 조성 (최재희, 이나현)

  • 사각지대는 설치 위치 조절로 최소화 가능 (정재민, 모승민)


반대 팀 (CCTV 설치 반대)

핵심 논리: 사생활 침해, 심리적 부담, 자율성과 신뢰 훼손, 비용 부담

  • 학생의 자유로운 활동과 사생활 보호가 어려움

  • 지속적 감시로 인한 불안감, 스트레스 발생

  • 학생과 교사 간 신뢰 저하, 자율성 제한

  • CCTV 설치가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한계

  • 설치와 유지 비용 부담이 크고 예산 비효율

주요 근거/사례:

  • CCTV 영상만으로 문제를 판단하기 어려움 (김윤서, 임은찬)

  • 심리적 불안감, 감시 느낌으로 인한 학교 생활 위축 (천지우, 금소울, 박나율)

  • 교사가 학생에게 관심을 가지면 CCTV 없어도 예방 가능 (김종욱)

  • 설치·유지 비용과 법적/윤리적 문제 (송의서, 금소울)


2. 승리팀 및 근거

승리팀: 찬성팀

근거:

  • 토론 내에서 찬성팀은 구체적 사례와 근거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

    • 학교폭력 예방, 안전사고 대응, 객관적 증거 확보 등 실질적 근거 제시

  • 반대팀은 대부분 심리적, 감정적 우려 중심으로 논리를 제시 → 현실적인 해결책이 부족

  • 찬성팀은 반대팀의 사각지대, 거짓말 등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 반박 가능

  • 학교 안전이라는 핵심 목표에서 찬성팀 논리가 더 설득력 있음


3. 각 팀별 최우수 토론자

찬성팀: 최재희

  • 학교폭력 예방과 교사 보호를 동시에 설명하며, 반대팀 반박에도 체계적으로 대응

  • 객관적 근거 제시 및 실제 사례 연계 → 설득력 높음

반대팀: 김시아

  • 사생활 침해, 심리적 부담, 자율성 문제를 계속 강조

  • 일부 논리 반복이 있었지만 토론 내에서 핵심 우려를 일관되게 주장



찬성 팀

1. 양고은

  • 장점: 간결하게 찬성 이유를 제시하고, 범죄 예방·안전 확보 등 구체적 근거를 강조함.

  • 반박 능력: 상대 반대 의견에 적극 반박하며 “안 보이는 곳 설치 가능” 등 실용적 대안 제시.

  • 개선점: 근거의 깊이를 조금 더 강화하면 설득력이 올라갈 것임.

2. 최재희

  • 장점: 찬성 근거를 명확히 제시, 학교폭력·안전사고 예방 등 구체적 사례 포함.

  • 반박 능력: 반대 팀의 비용·심리적 부담 논리에 체계적으로 반박.

  • 개선점: 반복된 근거보다는 새로운 관점을 더 추가하면 좋음.

3. 김지윤

  • 장점: 찬성 논리를 학생 안전·증거 확보 관점에서 잘 설명.

  • 반박 능력: 반대 팀의 ‘친한 친구 의견 문제’ 등에 논리적 대응.

  • 개선점: 상대 의견을 요약하고 반박하는 과정이 더 명확하면 설득력 상승.

4. 이나현

  • 장점: 안전·교사 보호·책임감 유도 등 다양한 근거 사용.

  • 반박 능력: 반대 측의 심리적 부담 주장에 대안 제시.

  • 개선점: 근거가 반복되는 경향이 있어, 새로운 논점 추가 필요.

5. 유지원

  • 장점: 찬성 이유를 단순하지만 명확하게 제시, 토론 중 질문으로 참여 유도.

  • 개선점: 반박보다는 질문에 치중해 설득력이 다소 약함.

6. 김도현

  • 장점: 안전·학교폭력 예방 중심으로 논리 전개, 필요시 확인만 강조하며 감시 아님을 명확히 함.

  • 반박 능력: 반대 논리에 대한 실용적 반박 잘 수행.

  • 개선점: 논리 흐름이 조금 단순해 반복되는 느낌 있음.

7. 정재민

  • 장점: 예방 효과, 심리적 안정, 객관적 증거 확보 등 다각도 근거 제시.

  • 반박 능력: 상대 심리적 반대 논리에 논리적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이 길어져 집중력이 분산될 수 있음.

8. 이주현

  • 장점: 폭력 예방, 증거 확보 등 현실적 근거 중심으로 주장.

  • 반박 능력: 상대 팀 질문·의문에 구체적 사례와 논리로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에서 반복되는 근거가 있음.

9. 유리

  • 장점: 안전 확보·교사 보호·분실 방지 등 근거 다양함.

  • 반박 능력: 반대 팀의 심리적 부담·사각지대 논리에 구체적 대응.

  • 개선점: 근거 제시 후 설득 논리 구조를 조금 더 체계화 필요.

10. 모승민

  • 장점: 학교폭력 예방, 안전 확보 등 찬성 근거 명확.

  • 반박 능력: 상대 질문에 대응하며 ‘사각지대 설치’ 등 해결책 제시.

  • 개선점: 논리 전개가 짧고 단순해 근거를 더 풍부하게 하면 좋음.

11. 김온유

  • 장점: 질문과 간단한 동의 표현으로 토론 참여.

  • 개선점: 근거 제시와 논리 전개가 부족, 다른 찬성 팀과 협업해 근거 강화 필요.


반대 팀

1. 천지우

  • 장점: 사생활 침해·심리적 불안 등 근거를 명확히 제시.

  • 반박 능력: 찬성 의견에 반박하며 구체적 문제점 강조.

  • 개선점: 반복적 주장보다는 반대 팀 근거를 정확히 반박하는 논리 강화 필요.

2. 임은찬

  • 장점: 사각지대, 비용, 오용 가능성 등 다양한 문제 제시.

  • 반박 능력: 찬성팀 질문에 적극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이 질문 중심으로 흐르며, 근거 중심 논리가 더 필요.

3. 승현

  • 장점: 사생활 보호·자율성 강조, 간결하고 명확한 주장.

  • 개선점: 반박 및 근거 구체성 강화 필요.

4. 김윤서

  • 장점: 사생활·자율성, 스스로 안전 의식 강화 등 교육적 측면 강조.

  • 반박 능력: 찬성 논리의 한계 지적.

  • 개선점: 논점 반복 경향, 근거 다양화 필요.

5. 김시아

  • 장점: 자율성 침해·신뢰 문제 등 깊이 있는 근거 제시.

  • 반박 능력: 여러 찬성 의견에 체계적 반박.

  • 개선점: 일부 발언이 질문 위주로 흐름, 근거 중심 정리 필요.

6. 박나율

  • 장점: 감시 느낌·예산 문제 등 현실적 근거 제시.

  • 반박 능력: 찬성팀 주장에 논리적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이 반복적, 논리 구조화 필요.

7. 서주원

  • 장점: 신뢰 훼손·사생활 침해·심리적 부담 근거 제시.

  • 반박 능력: 사각지대 문제, 찬성팀 주장에 구체적 질문으로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이 질문 위주, 반박과 근거 중심 발언 강화 필요.

8. 송의서

  • 장점: 법적·기술적 한계 지적.

  • 개선점: 근거와 논리 전개를 구체화, 반복적 발언 개선 필요.

9. 금소울

  • 장점: 심리적 부담·신뢰 저하·사생활 보호 문제 강조.

  • 반박 능력: 찬성팀 주장에 논리적 대응.

  • 개선점: 일부 발언 반복, 사례 기반 근거 추가 필요.

10. 윤한결

  • 장점: 심리적 안전·사생활 보호 강조.

  • 반박 능력: 찬성팀 주장에 현실적 문제 제기.

  • 개선점: 반복적 주장, 구체적 대안 제시 부족.

11. 유다인

  • 장점: 감시 느낌·대화 통한 문제 해결 강조.

  • 개선점: 반박 및 근거 구조화 필요.

12. 김종욱

  • 장점: 자율성·관심 교육 강조, 현실적 대안 제시.

  • 반박 능력: 찬성팀 주장에 논리적 의문 제기.

  • 개선점: 일부 근거 반복, 설득력 강화 필요.

이전글 test
다음글 토론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