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6반

1. 등교 시각: 08:40

2. 등교하면서 휴대폰을 무음 또는 종료함

3. 담임 연락처: 0507-2017-1878 

   가. 08:30~16:30 (해당 시간 외에는 전화 시 부재 중 확인이 어렵습니다.)

   나. 문자메시지 가능 (간혹 문자메시지 지연 현상이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4. 학급 안내는 학급 홈페이지로 운영함 

 

  • 선생님 :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토론 결과

이름 김진휘 등록일 25.10.17 조회수 37

1. 찬반 팀의 논리 정리

찬성팀  “초등학생의 SNS 사용 금지 찬성”

핵심 논리:
초등학생은 아직 판단 능력이 부족하므로 SNS 사용은 위험하다. 보호가 우선되어야 한다.


세부 근거:

  1. 정신적·사회적 부작용

    • SNS 비교문화로 인한 자존감 하락, 스트레스, 우울감 발생 가능 (김온유, 천지우, 김도현)

    • 악성 댓글·따돌림 등 사이버 폭력 피해 가능성 (임은찬, 윤한결)

  2. 중독과 건강 문제

    • SNS 중독으로 공부 방해, 수면 부족, 시력 저하 등 부정적 영향 (정재민, 서주원)

  3. 판단력 부족과 위험 노출

    • 초등학생은 아직 유해 콘텐츠나 거짓 정보를 구별하기 어렵다.
      → 딥페이크, 스팸, 낯선 사람의 접근 위험 (이주현, 모승민)

  4. 보호 필요성

    • “지금은 금지하고, 성인이 되어 스스로 책임질 때 사용해야 한다.” (김진휘, 김종욱)

    • 아이들의 자유보다 안전과 보호가 더 중요하다.


반대팀  “초등학생의 SNS 사용 금지 반대”

핵심 논리:
SNS는 시대적 필수 도구이며, 금지보다 올바른 사용 교육과 보호자 관리가 필요하다.

세부 근거:

  1. 표현의 자유와 창의력

    • SNS는 생각·재능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공간이다.
      → 금지는 자유와 자기표현권 침해 (김지윤, 시아, 양고은)

  2. 소통과 사회성 발달

    • 멀리 있는 친구·가족과 소통 가능.
      → 사회성·정서적 교류에 도움 (유리, 금소울, 양고은)

  3. 정보 접근성과 학습 효과

    • SNS를 통해 정보, 뉴스, 학습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음 (유다인, 김윤서)

  4. 현실적 대안 가능

    • 완전 금지는 비현실적.
      → “시간제한, 부모 인증제, 안전 모드 등으로 충분히 관리 가능” (박나율, 금소울, 시아)

  5. 디지털 시민성 교육 필요

    • 금지보다 “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미래 사회에 더 필요 (이나현)


2. 승리팀과 그 근거

승리팀: 반대팀 (SNS 금지 반대)

판정 근거:

  • 현실적 설득력: 금지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교육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함.

  • 균형 있는 주장: 위험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율·교육·관리의 조화를 강조함.

  • 논리적 흐름: 문제 인식 → 대안 제시 → 사회적 필요성 순으로 명확.

  • **찬성팀의 감정적 호소(위험 강조)**보다 실제적 실행 가능성이 높았음.

 결론: “완전 금지보다 올바른 지도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현실적 관점이 우세.

 


 3. 각 팀별 최우수 토론자

이름선정 이유
찬성팀윤한결SNS의 부작용을 구체적으로 예시(사이버 괴롭힘, 중독)로 설명하며, 어린이 보호의 필요성을 논리적으로 제시. 상대 반박에도 중심 논리를 유지함.
반대 팀 금소울“금지보다 교육이 필요하다”는 핵심 논리를 명확히 정리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함. 발언이 조리 있고 균형 잡혀 있었음.


4. 토론자별 개별 피드백

이름피드백
정재민찬성SNS 중독의 실례를 잘 들었음. 논리가 단단하지만, 상대의 “교육으로 해결 가능” 주장에 대한 구체 반박이 부족했음.
임은찬찬성위험성에 대한 감정 호소가 강렬했음. 근거를 수치나 실제 사례로 보강하면 더 설득력 있을 것.
이주현찬성판단력 부족 논리를 체계적으로 말함. 발표 태도 안정적이나, 상대 주장 반박 시 예시가 더 필요.
김도현찬성SNS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잘 짚었음. 다만 발언이 단편적이라 논리 연결력을 강화하면 좋겠음.
천지우찬성SNS 비교 문화로 인한 자존감 하락을 구체적으로 설명함. 감정 전달이 좋았고, 청중 공감 유도 성공.
김온유찬성어린이 보호 논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했음. 다만 새로운 근거 제시가 부족해 중복 인상.
윤한결찬성핵심 주장 명확, 반박 능력 우수. 팀 내 논리 정리에 기여한 리더형 토론자.
김종욱찬성가족 간 대화 감소 문제를 구체적으로 짚음. 다만 목소리 톤이 일정해 전달력이 약간 떨어졌음.
모승민찬성SNS 범죄 위험 예시가 인상적. 근거 전달은 좋았으나, 반대 의견에 대한 대응이 미흡.
서주원찬성SNS 중독 문제를 생활 예시로 설명함. 친근한 어조가 좋았으나, 주장의 깊이를 더하면 좋겠음.
김진휘찬성발언에서 “보호가 자유보다 우선”이라는 논리가 우수함. 다만 발언 횟수가 적어 아쉬움.
유리반대SNS의 소통 기능을 잘 강조함. 다만 찬성 측의 ‘위험성’ 부분을 직접 반박하지 않아 설득력이 약했음.
금소울반대핵심 논지 일관, 대안 제시 명확. 팀 논리 구조를 잡은 중심 인물. 최우수 토론자 선정.
시아반대“자유와 창의성” 논리를 설득력 있게 전달함. 발언이 조리 있고 표현력이 뛰어났음.
양고은반대SNS의 긍정적 면(소통·자기표현)을 강조함. 다만 발언이 짧아 근거가 부족했음.
이나현반대금지보다 교육이 필요하다는 논지를 강조. 안정적 발표였으나, 예시 추가 시 더 설득력 상승 가능.
김윤서반대SNS의 학습적 장점을 구체적으로 말함. 다만 논리 흐름이 조금 단절되어 문장 구성 연습이 필요.
유다인반대SNS를 통한 정보 습득을 주장하며 논리적 근거를 제시함. 전달력이 안정적이었음.
박나율반대SNS 제한제, 시간제 등 대안 제시로 현실적 설득력 높음. 표현이 차분하고 논리 정리력이 좋았음.
김지윤반대표현의 자유 논리를 뚜렷이 제시했으나, 목소리 전달이 약해 청중의 주목도가 떨어짐. 발음·강조 훈련을 하면 좋겠음.


토론자발언 설득력 (10점)논리 구조 (10점)반박 능력 (10점)종합 점수 (30점)비고
찬성정재민76518SNS 중독 사례 제시
찬성임은찬76417위험성 강조, 반박 부족
찬성이주현87520판단력 부족 근거 명확
찬성김도현76417정신 건강 영향 설명
찬성천지우87520자존감 하락 구체적 사례
찬성김온유76417보호 필요성 강조
찬성윤한결98724팀 중심 논리 정리, 최우수
찬성김종욱76518가족 간 대화 감소 문제
찬성모승민76417범죄 위험 사례 인상적
찬성서주원76417생활 사례로 중독 문제 설명


반대유리87520소통 기능 강조, 반박 약간 부족
반대금소울99826팀 중심 논리, 최우수
반대시아88622자유·창의성 강조, 표현력 우수
반대양고은77519긍정적 면 강조, 발언 짧음
반대이나현87621교육 필요성 강조, 안정적
반대김윤서76518학습 장점 근거 제시
반대유다인77519정보 습득 장점 논리적
반대박나율88622현실적 대안 제시
반대김지윤76518표현 자유 주장, 전달력 아쉬움


 승리팀: 반대팀

  • 이유: 현실적 대안 제시, 교육과 자율 강조, 설득력과 논리 구조 우수.


이전글 토론결과2
다음글 ai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