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 모든 국민이 나라의 주인으로서 권리를 갖고, 그 권리를 자유롭고 평등하게 행사하는 정치 제도를 민주주의라고 한다. | 민주주의 |
18 | 민주주의를 이루려면 모든 사람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아야 한다. 또 신분, 재산, 성병, 인종 등에 따라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고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 | 신분 | 재산 |
성별 | 인종 |
19 | 민주 선거의 기본 원칙 4가지를 적어보시오 | 보통선거 | 평등선거 |
직접선거 | 비밀선거 |
20 |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려면 대화와 토론을 바탕으로 관용과 비판적 태도, 양보와 타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대화 | 토론 |
관용 | 비판 |
양보 | 타협 |
21 | 다수결의 원칙이란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 다수결의 원칙 |
22 | 주권이란 국민이 한 나라의 주인으로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를 말한다. | 주권 |
23 |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 |
24 | 대한민국 제 1조 제 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 민주공화국 |
25 | 대한민국 제 1조 제 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국민 |
26 | 우리나라는 국민 주권을 지키려고 국회, 정부, 법원 등의 국가 기관이 서로 국가 권력을 나누어 행사하고 있다. | 정부 |
국회 |
법원 |
27 | 국회는 국민의 대표인 국회 의원이 나라의 중요한 일을 의논하고 결정하는 곳이다. | 국회의원 |
28 | 국회에서는 법을 만드는 일을 하며, 법을 고치거나 없애기도 한다. | 법 |
29 | 국회에서는 나라의 살림에 필요한 예산을 심의하여 확정하는 일도 한다. | 예산 |
30 | 국회에서는 정부가 법에 따라 일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국정 감사를 한다. | 국정감사 |
31 | 국회의원들은 국회의사당에서 일을 한다. | 국회의사당 |
32 | 대통령은 외국에 대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며, 정부의 최고 책임자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한다. | 최고책임자 |
33 |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도와 각 부를 관리하고, 대통령이 외국을 방문하거나 특별한 이유로 일하지 못하면 대통령의 임무를 대신한다. | 국무총리 |
34 | 대통령은 5년마다 국민이 직접 뽑는다. | 5 |
35 | 국민의 교육에 관한 일을 책임지는 부서의 명칭은? | 교육부 |
36 | 법원은 법에 따라 재판을 하는 곳이다. | 법원 |
37 | 법은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 공정 |
38 | 공정한 재판으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자 법원은 외부의 영향이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 | 영향 | 간섭 |
39 | 법관은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라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판결을 내려야 한다. | 헌법 | 법률 |
40 | 우리나라는 국민이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사건에 원칙적으로 세 번까지 재판을 받을 수 있는 3심 제도를 두고 있다. | 삼심제도 |
41 | 헌법 재판소는 헌법과 관련된 다툼을 해결하는 일을 한다. | 헌법재판소 |
42 | 헌법 재판소에는 9명의 재판관이 있으며,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6명 이상이 찬성을 해야 한다. | 6 |
43 | 우리나라는 국가 권력을 국회, 정부, 법원이 나누어 맡는데, 이를 삼권 분립이라고 한다. | 삼권분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