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진실 ) 사랑 (배려 )  (보람 )

진심을 나누는 마음, 나를 사랑하고 친구를 사랑하는 보람과 땀의 가치를 아는 어린이

 

  "우리는 소나무 !  소나무 

 ' 리없이  부터  엇이든 열심히 '

^^ 랍니다 

늘 푸른 소나무처럼
  • 선생님 : 김지숙
  • 학생수 : 남 14명 / 여 13명

사회 1단원 활동학습지 정답

이름 김지숙 등록일 20.04.20 조회수 146
첨부파일


1

우리나라의 첫 번째 대통령이자 헌법을 바꿔 가며 계속 대통령이 되어 독재 정치를 이어나간 사람의 이름은?

이승만

2

유권자들에게 돈이나 물건을 주면서 이승만 정부에게 투표하도록 하거나, 투표한 용지를 불에 태워 없애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 부정선거의 명칭은?

3·15 부정 선거

3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에서 시위를 하다가 실종되어 마산 앞바다에서 주검으로 발견된 학생의 이름은?

김주열

4

이승만 정부의 독재와 3·15 부정 선거로 짓밟힌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자 시작된 민주주의 운동의 이름은?

4·19혁명

5

4·19 혁명 당시에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은 물론 도 시위에 참여했다.

초등학생

6

4·19 혁명 이후 국민은 민주적인 사회를 기대하고 있었으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지 1년도 되지 않아 는 군인들을 동원해 정권을 잡았다.

박정희

7

197210월에는 헌법이 바뀌어 대통령을 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지 않았으며

대통령 로 바꿨다.

간선제

직선제

8

낡은 제도를 새롭게 고친다는 뜻이 있는 헌법으로 국민의 권리를 대통령이 마음대로 제한했던 이 헌법의 이름은?

유신 헌법

9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국민은 민주주의 사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전두환이 중심이 된 군인들이 또 정변을 일으켰다.

전두환

10

광주에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자 전두환은 시위를 진압할 계엄군을 광주에 보냈다. 이들은 시민들과 학생들을 향해 총을 쏘며 폭력적으로 시위를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었고 분노한 시민들은 시민군을 만들어 군인에게 대항하였는데, 이 사건의 이름은?

5·18 민주화 운동

11

군정부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광주의 사건을 알린 독일 기자의 이름은?

위르겐 힌츠페터

12

1987년에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대학생 박종철이 강제로 경찰에 끌려가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함.

박종철

13

전두환 정부는 직선제 내용이 포함되도록 헌법을 바꿔야 한다는 국민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시위가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대학생 이한열이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다.

이한열

14

시민들과 학생들이 전두환 정부의 독재에 반대하고 대통력 직선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사건의 명칭은?

6월 민주 항쟁

15

지역의 주민이 직접 선출한 지방 의회 의원과 지방 자치 단체장이 그 지역의 일을 처리하는 제도를 무엇이라고 할까?

지방 자치제

16

정책 결정 전에 관련된 사람들과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공개 회의를 공청회라고 한다.

공청회

17

모든 국민이 나라의 주인으로서 권리를 갖고, 그 권리를 자유롭고 평등하게 행사하는 정치 제도를 민주주의라고 한다.

민주주의

18

민주주의를 이루려면 모든 사람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아야 한다.

신분, 재산, 성병, 인종 등에 따라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고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

신분

재산

성별

인종

19

민주 선거의 기본 원칙 4가지를 적어보시오

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선거

비밀선거

20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려면 대화토론을 바탕으로 관용비판적 태도, 양보타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화

토론

관용

비판

양보

타협

21

다수결의 원칙이란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다수결의 원칙

22

주권이란 국민이 한 나라의 주인으로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를 말한다.

주권

23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24

대한민국 제 1조 제 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민주공화국

25

대한민국 제 1조 제 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민

26

우리나라는 국민 주권을 지키려고 국회, 정부, 법원 등의 국가 기관이 서로 국가 권력을 나누어 행사하고 있다.

정부

국회

법원

27

국회는 국민의 대표인 국회 의원이 나라의 중요한 일을 의논하고 결정하는 곳이다.

국회의원

28

국회에서는 을 만드는 일을 하며, 을 고치거나 없애기도 한다.

29

국회에서는 나라의 살림에 필요한 예산을 심의하여 확정하는 일도 한다.

예산

30

국회에서는 정부가 법에 따라 일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국정 감사를 한다.

국정감사

31

국회의원들은 국회의사당에서 일을 한다.

국회의사당

32

대통령은 외국에 대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며, 정부의 최고 책임자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한다.

최고책임자

33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도와 각 부를 관리하고, 대통령이 외국을 방문하거나 특별한 이유로 일하지 못하면 대통령의 임무를 대신한다.

국무총리

34

대통령은 5년마다 국민이 직접 뽑는다.

5

35

국민의 교육에 관한 일을 책임지는 부서의 명칭은?

교육부

36

법원은 법에 따라 재판을 하는 곳이다.

법원

37

법은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공정

38

공정한 재판으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자 법원은 외부의 영향이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

영향

간섭

39

법관은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라 헌법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판결을 내려야 한다.

헌법

법률

40

우리나라는 국민이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사건에 원칙적으로 세 번까지 재판을 받을 수 있는 3심 제도를 두고 있다.

삼심제도

41

헌법 재판소는 헌법과 관련된 다툼을 해결하는 일을 한다.

헌법재판소

42

헌법 재판소에는 9명의 재판관이 있으며,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6명 이상이 찬성을 해야 한다.

6

43

우리나라는 국가 권력을 국회, 정부, 법원이 나누어 맡는데, 이를 삼권 분립이라고 한다.

삼권분립


이전글 선생님과 우리반을 소개해요
다음글 2020년 4월 20일 월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