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배려하며 더불어 함께할 줄 아는 어린이
자신을 사랑하며 존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어린이
6모둠 |
|||||
---|---|---|---|---|---|
이름 | 김주완 | 등록일 | 19.05.23 | 조회수 | 15 |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광복되었지만 남·북한을 미·소 양군이 점령함으로써 통일정부의 수립이 요원하게 되자 1945년 12월 27일 모스크바협정에서 '한국에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고, 일정 기간의 신탁통치 문제를 협의한다'라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소 공동위원회가 곧 서울에서 열린다는 외신보도가 있었고 즉시 독립정부의 수립을 갈망해온 전국민은 이에 분노했다. 따라서 그해 12월 30일에 반탁전국대회(反託全國大會)를 열고 100여 개의 애국사회단체(愛國社會團體)와 정당의 이름으로 신탁통치를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12월 31일에 권동진(權東鎭)을 위원장, 안재홍(安在鴻)·김준연(金俊淵)을 부위원장으로 추대하여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信託統治反對國民總動員委員會)를 조직하고 반탁시위대회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좌익계열의 찬탁을 분쇄하기 위해 민족진영단체들이 단결하여 거족적인 반탁운동을 전개, 시위 ·집회 ·언론 등을 통해 미 ·소 공동위원회에 항의하고 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를 조직하였다. 미 ·소 공동위원회가 격렬한 반탁운동과 미 ·소의 의견대립으로 결렬되고, 이를 계기로 우익민족진영은 다시 민족통일총본부를 창설하여 독립쟁취의 기틀을 잡으려 하였다. 1947년 1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 44대 1로 반탁을 결의하고, 1월 24일 경교장(京橋莊)에서 김구(金九)를 중심으로 정당 ·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결성하였으며, 1947년 6월 1일에는 이승만(李承晩) ·김구가 반탁성명을 발표하고 이를 미 ·소 공동위원회에 통고하였다. 이리하여 1947년 6월 23일 단오절을 계기로 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전개된 반탁운동은 8월 말 미 ·소 공동위원회가 완전히 결렬될 때까지 극렬하게 전개되었다. 출처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
이전글 | 7모둠 자료(글) |
---|---|
다음글 | 7모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