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판소리는 소리광대라고 하는 가수 한사람이 북재비라는 고수 한사람의 북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민족가요의 한 형식이었다. 19세기에 활동한 윤달선이 ‘광한루악부’의 머리글에서 “우리나라 광대놀이는 한사람이 서고 한사람이 앉아 하는 것인데 선 사람은 노래부르고 앉은 사람은 북을 가지고 장단을 맞춘다.”라고 한 것은 바로 판소리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판소리는 지금까지 ‘타령(打令)’, ‘본사가(本事歌)’, ‘판놀음’, ‘광대소리’, ‘창악(唱樂)’, ‘판창(板唱)’, ‘창사(唱詞)’, ‘창조(唱調)’, ‘극가(劇歌)’, ‘창극가’ 등 각이한 이름으로 불렸다. 판소리는 처음에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남도지방에서 발생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판소리명창들이 남도지방에서 배출되었고 오늘날 판소리를 ‘남도창’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판소리가 도시와 민간에서 활동한 가객, 소리광대들에 의하여 창조된 가요양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보면 그것이 대체로 17세기 말~18세기 초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엽에 이르러 하나의 민족가요양식으로 고착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17세기 말~18세기 초에 남도지방에서 판소리가 발생하게 된 것은 우선 17세기 후반기 이후 이 지방에서 도시음악이 급격히 발전하고 도시 서민층의 사상미학적 요구가 더한층 높아진 것과 관련되어 있다.
당시 도시음악의 직접적인 채현자인 소리광대들은 백성들 속에서 사랑을 받고있는 구전설화의 긴 이야기꺼리를 음악적인 표현수단으로 재미있게 엮어 노래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8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남도지방에서는 음악 극적인 민족가요양식의 판소리가 발생하게 되었다.
판소리가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남도지방에서 발생할 수 있은 것은 또한 당시 이 지방에는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지고 전승되어 온 ‘무속풀이’와 같은 민간설화창(서사무가)과 서정서사 가요인 단가가 광범히 보급되고 있은 사정과 관련되어 있었다.
사실 조선 후반기의 자료를 보면 전라도지방의 무당들은 단골(丹骨)무당이라고 불리는 세습무로서 굿의식때 서사무가인 민간설화를 불렀는데 이러한 서사무가들은 그 장단과 창법에서 판소리와 많은 점에서 공통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전라도지방에 일찍부터 무속풀이가 있었다는 것과 그것이 당시 민간에서 활동한 소리광대들의 예술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남도지방에서는 무당들의 ‘무속풀이’와 같은 민간설화창과 함께 단가들이 일찍부터 창작보급되고 있었는데 이 단가들은 그 후 판소리가수들의 목풀이노래인 ‘허두가’로 널리 이용하게 되었다. 판소리가 남도지방에서 발생하게 된 것은 또한 이 지방에서 판소리창조자이며 명창들인 소리광대들이 일찍부터 활발하게 활동한 사정과 관련되었다. 지금까지 판소리창시자로 인정되고 있는 하한남과 최진수(최선달) 그리고 그의 후배인 판소리명창 권삼득은 모두 전라도출신으로서 17세기 말~18세기 중엽에 활동한 인물들이며 권삼득 이후에 배출된 판소리명창 송홍록과 송광록, 주덕기, 염계달, 신만엽, 박유전 등도 모두 전라도 출신들이었다.
18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발생한 판소리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창극이 발생할 때까지 근 200년 간 세 단계를 거쳐 발전하였다. 발생초기 판소리는 당시 성행하던 도시서사가, 무속풀이와 같이 사설노래조인 극적인 설화창 양식으로 되어 있었으며 그 음조도 남도지방 잡가의 기본유형인 단가와 유사하였다. 판소리의 초기작품으로 인정되는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토별가’ 등은 단가에 비하여 극적인 설화창 양식으로 되어 있었다. 판소리는 18세기 말~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전라도의 한계를 벗어나 경상도, 충청도, 경기에 파급되었으며 판소리 열두마당이 완성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판소리의 유래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