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조선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당시 조선 수군을 통솔했던 제독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구국영웅이자, 세종대왕과 더불어 최고의 위인으로 손꼽히는 인물로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살펴보아도 23전 전승이라는 손꼽히는 수준의 전훈을 남긴 최고의 명장 중 한 명이다.[14]
심지어 한국인들에게 영웅을 넘어 성웅이라는 칭호로 불리는 위인은 오직 이순신 한 명뿐이다.
일본군의 조선 상륙 및 침공 당시 3주 만에 한성, 2개월 만에 평양을 함락시키는 등 전세가 일본 측에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전개되던 차에 조선 측 장수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전투마다 승리를 거두고 이를 통해 일본군의 북진 중단, 명군의 파병 등에 일조하면서 참화 속의 조선을 구하고 일본을 패배시킨 명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군공 이외에도 휘하 장병을 원리원칙에 기반해 철두철미하게 관리하고 상업에도 종사하여 자급자족을 이루어 군을 자립시켰으며, 왜란 이전에도 이이 등의 고위 관료와 접선을 수차례 거절하거나 축재를 하지 않았고, 현감 재임기에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푸는 등 지휘관이요 목민관으로서 매우 모범적인 관리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수많은 고난과 핍박을 겪고도 죽는 순간까지 전장을 떠나지 않은 철인의 면모까지 갖춰 조선 중기의 명장을 넘어 한국사 최고 위인의 반열까지 오른 인물이다. 저서로 난중일기, 서간첩, 이충무공전서, 전시 장계(보고서)를 모은 것으로 임진장초, 충민공계초가 있다.
생전부터 그를 사적으로 알고 있던 인근 백성이나 군졸, 일부 장수와 재상들에게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았고 그렇지 않더라도 명성이 제법 있었으며, 전사 소식에 많은 이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크게 슬퍼했다고 전해진다. 사후 조정은 관직을 추증했고 선비들은 찬양시(詩)를 지었으며 백성들은 추모비를 세우는 등, 이순신은 오래도록 많은 추앙을 받아왔다. 이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이순신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앞서 말했듯이 현대 한국에서 성웅이라는 최상급 수사가 이름 앞에 붙어도 어떤 이의도 제기받지 않는,[15] 세종과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조선사 양대 위인이다. 가장 존경하는 위인을 묻는 설문조사에서도 세종대왕과 1, 2위를 다투며[16] 충무공이라는 시호도 실제로는 김시민과 같은 여러 장수들이 함께 받은 시호이지만 현대 한국인들은 대부분[17] 이순신의 시호로 인식한다.
1545년 한성부 건천동에서 태어나 1576년 무과에 급제하여 그 해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이 되었고, 1579년에는 훈련원 봉사가 되었다. 1580년에 전라도 발포 수군 만호, 1581년에 경차관 서익에 의해[18] 파직되었다가 1582년에 다시 훈련원 봉사로 복직되었고 1583년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군관, 함경도 건원보 권관을 지내다가 3년간 부친상을 치르고 1586년 함경도 조산보 만호에 임명되었으며 1587년 함경도 녹둔도 둔전관을 겸임했다. 이 해 여진족의 기습을 받아 일부 백성이 납치되고 반격으로 녹둔도 전투를 치르는 등의 일이 있었다. 이때 함경북병사 이일이 이순신과 이경록에게 경비 소홀에 참수형을 청했고[19] 이는 면했으나 다시 파직 및 백의종군 처분을 받았다. 그리고 1588년 시전부락 전투에서의 군공으로 복직되었다.
1589년에 전라 감사의 군관이 되었고 정읍 현감에 제수되어 백성을 다스리는 경험을 하게 되었으며 태인 현감도 겸했다. 그리고 진도 군수, 배포 첨사 임명장을 받고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된다. 일찍이 일본의 침공을 예상하고 전함 건조, 무기와 군비 확충, 군사훈련 등에 힘썼다. 1592년에 일본군의 침공이 시작되었고, 옥포 해전과 합포 해전, 적진포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2차 출병 때는 사천 해전과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 율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이후 한산도 해전에 크게 승리하고 안골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두 달여 뒤에 재출병해서 부산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1593년 웅포 해전에서 승리하고 본영을 여수에서 한산도로 옮겼으며 삼도 수군 통제사로 선임되었고, 이 시기에 조총을 모방해서 총을 제조해 보기도 했다. 1594년 당항포 해전에서 승리했고 윤두수가 건의한 수륙 합동작전에 참여해서 영등포, 장문포를 공격했지만 강화 협상 중이라 일본군이 대응하지 않아서 별 성과는 없었다. 1595년에는 우수영과 둔전을 시찰하고 백성을 모아 소금을 굽고 둔전을 통한 곡식을 확보하는 등 생업에 종사했고 1596년 전염병으로 죽은 병사들을 위해 여제를 지냈다. 1597년에 원균에게 인계하고 체포되어 상경한 후 투옥되었고, 선조가 사형을 제의했으나[20] 정탁이 변호하면서 출옥하고 두 번째 백의종군 처분을 받는다. 이후 모친상을 겪었으며 원균이 출전한 칠천량 해전에서 그간 육성해온 군과 자산을 거의 궤멸당했으나 통제사에 재임명된 후 소수 병력으로 출전한 명량 해전에서 승리했다. 이후 셋째 아들 이면이 전사했고, 1598년 조선에서 철군하는 일본군을 추격하여 노량 해전을 치르던 중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죽음을 함구하고 전투를 지속하라는 말을 남겼고 그가 죽은 뒤에 전투는 승리로 끝났으며 그와 함께 일본-조선-명이 얽힌 지옥과 같았던 전쟁도 끝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