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6학년 5반 어린이 여러분!
서로 다른 우리가 만났지만 그 다른 점을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1년동안 행복한 학교 생활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봅시다 :)
줄임말,은어를 사용하지 말자(류소민) |
|||||
---|---|---|---|---|---|
이름 | 등록일 | 20.07.20 | 조회수 | 25 | |
요즘 청소년들이 신조어 줄임 말,비속어,은어를 많이 사용 합니다. 편의대로 말을 만들어 쓰는 습관에 길들여지다 보면 점점 맞춤법 실력화 어휘력 수준이 낮아지게 됩니다. 먼저, 어린이들이 평균 2.2개 이상의 신조어 또는 줄임 말, 은어를 사용합니다. 어린이 중 47%는 이러한 말(신조어,줄임 말,은어)을 주로 학교 또는 학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며 배웠다고 합니다. 또한 30%는 카카오톡 등 모바일 SNS를 즐기는 과정에서,15%는 부모님 또는 형제.자매의 언어 습관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더불어 '자녀의 부적절한 언어 사용 시, 어떠한 반응을 보이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가장 많은 학부모들이 '강경한 태도로 혼을 내거나 훈육하겠다(33%)고 답해,어른 자녀들의 올바르지 못한 언어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걱정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다음, 제가 아느 선생님 딸들이 중,고등학생 때, 선생님께서 모르는 줄임 말을 사용해서 당황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청소년들과 이야기를 하면서 '생선','노답','멘붕','레알'과 같이 어른들이 잘모르는 단어를 들으시면 당황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른들이라면 몰라서 물어 볼 수 있는데,'그것도 몰라?'와 같이 상처 입는 말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이 줄임 말,신조어를 계속 사용하면 우리 한국말을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중한 한국말이 없어지지 않도록 줄임 말, 신조어를 사용하지 맙시다. |
이전글 | 비속어,줄임말의 위험성 |
---|---|
다음글 | 줄임말이나 신조어 사용을 자제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