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잘 놀고 즐겁게 공부하는 우리!!!

차이를 인정하고 함께 꿈꾸자!
  • 선생님 : 강재웅
  • 학생수 : 남 12명 / 여 11명

6월 민주항쟁원인

이름 최재희 등록일 23.03.12 조회수 35

1. 4.13 호헌 조치 

2.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3.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사건

 

1.   4·13 호헌 조치(4·13 護憲 措置)는 1987년 4월 13일전두환 대통령이 취한 조치이다. 일종의 특별 선언이기도 하다. 말 그대로 "현행 헌법을          유지한다"(보호한다, 수호한다, 지키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1986년 6월 5일 경기도 경찰국 부천경찰서의 수사과 조사계 소속 형사였던 문귀동 경장이 학생운동가 권인숙을 성고문한 사건. 1988년까지       2년간의 재판 끝에 가해자가 처벌되었다. 흔히들 부천서 성고문 사건, 심지어 당시에는 성고문이라는 표현도 제외하고 "부천서 사건", 또는        "부천서 권 양 사건"[1] 등으로 에둘러서 표현되었던 사건이다. 

 

3.  1987년 1월 14일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3학년 학생 박종철이 경찰에게 연행되어 남영동 대공분실[2]에서 각종 고문을 받다 사망한         사건. 6.10 민주 항쟁의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4.‘박종철군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국민대회’를 하루 앞두고 열린 ‘6·10 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에서 전경이 쏜

    최루탄을 맞고 요절하였다. 그의 죽음은 6월 항쟁과 6·29 선언의 도화선이 되었다.

 

이전글 가정생활속에민주주의
다음글 4조 자료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