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3반

즐기며 뛰놀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가 되자! 

차이를 인정하고 함께 꿈꾸자!
  • 선생님 : 강재웅
  • 학생수 : 남 13명 / 여 10명

1조 조선 유교

이름 김민정 등록일 22.11.14 조회수 30

  • 신진 사대부들은 조선을 건국한 후 임금부터 백성들까지 모두 유교 질서에 따라  생활해야 한다고 생각햇다   


        공교 ·공자교라고도 한다. 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이념으로 삼고,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 ·정치학이며, 수천 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사상을 지배하여 왔다.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난 공자는 대성이었으나 고국인 노나라에서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15년간 여러 나라로 돌아다니며 ‘선왕의 도’를 역설하였으나 끝내 그 이상을 펴지 못하였다. 만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사학을 열어 많은 제자를 가르치는 한편  의 2경을 정리하고 예 ·악을 선정하였으며 《춘추》를 저술하고 또한 《역》을 좋아하여 그 해석서라 할 수 있는 《십익》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그의 사상의 진수는 그가 죽은 후, 제자들이 수집 편찬한 그의 언행록인 《논어》에서 잘 나타난다. 공자는 인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인은 곧 이며 제라 하여 인의 근본을 가족적 결합의 윤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육친 사이에 진심에서 우러나는 애정을 강조하는 한편, 그것을 인간 사회의 질서 있는 조화적 결합의 원리로 삼고, 정치에도 전개시켰다. 그것은 춘추시대 말기의 인간주의적 풍조의 영향을 받아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도덕성에 주목하고, 거기서부터 현실사회의 혼란을 구제하려 하였다. 공자는 훌륭한 정치를 행했던 주의 예악을 끌어들여 그 실행을 강조하면서, 예는 전통적 ·관습적인 사회규범이며 그것은 곧 인의 사회성 ·객관성을 보증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후 맹자가 나타나 인의 실천을 위한 의의 덕을 내세워 인의를 병창하였으며 또한 인간의 본성은 선이라 하여 내면적인 도덕론을 펴고,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로서의 왕도론을 주장하였다. 맹자에 의하여 유교는 뚜렷하게 내면적으로 심화되고 또 정치론으로도 정비되었으며 한편 오륜도 이 무렵에 시작되었다. 얼마 후 순자가 나타나 맹자의 내면화에 반대이론을 내세웠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악이므로, 외면적 ·객관적인 예에 의해서만 수양이 완성된다고 생각하여 예를 강조하였다. 또 공자와 맹자가 존중하던 불가지인 하늘의 존재를 추방하고 인간의 독자적 입장을 주장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교 [Confucianism, 儒敎]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동양 사상  

  • 철학 중국과 인도한국  동양에서 성립된 여러 사상 통틀어 이르는 .            


    • 뜻풀이부

      • .
        사회^규범 

        뜻풀이부

        • 1.
          사회 일반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생활을 바람직하게 이끄는 여러 규범법률도덕종교관습 따위가 있다.
이전글 조선의 영토 확장
다음글 1조 이순신장군과 신사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