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궁은 중심이 되는 천정전(天政殿)과 동쪽의 문사전(文思殿), 서쪽의 무덕전(武德殿)등이 회랑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14개 동 4,492㎡의 규모이다. 고대궁궐의 기본배치 형식을 따라 왕의 대외적 공간인 치조(治朝)권역을 재현하였다. 천정전은 궁궐 내 가장 으뜸이 되는 상징적 공간으로 신년하례식, 외국사신 접견 등 국가 및 왕실의 중요행사시에만 사용하는 공간으로 웅장하고 화려하게 높이 19m, 면적 337㎡의 2층 규모로 건축하였다.](http://www.bhm.or.kr/images/kr/visit/visit01_pic02.jpg)
![중궁전은 백제 사비시기의 중궁을 재현해 놓은 곳이다. 정전인 천정전(天政殿)은 국가의 큰 정사를 하늘에 고하여 결정했다는 천정대(天政臺)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곳 중궁의 정전은 왕의 즉위 의례, 신년 행사 등 각종 국가 의식이 거행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왕궁 내의 가장 중요한 건물이었다.](http://www.bhm.or.kr/images/kr/visit/visit01_img01.gif)
천정전 | 천정문 |
---|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규모 | 1층 : 28칸(정면7칸, 측면4칸) 2층 : 10칸(정면5칸, 측면2칸) | 규모 | 1층 : 10칸(정면5칸, 측면2칸) 2층 : 10칸(정면5칸, 측면2칸) | 양식 | 팔작지붕 | 양식 | 팔작지붕 | 기능 | 대외적 주요행사를 진행 | 기능 | 중궁전 출입문 |
문사전 | 연영전 |
---|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규모 | 28칸(정면7칸, 측면4칸) | 규모 | 20칸(정면5칸, 측면4칸) | 양식 | 팔작지붕 | 양식 | 팔작지붕 | 기능 | 국내 주요회의 공간 | 기능 | 신하들의 업무공간 | 현정문 | 숭지문 |
---|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규모 | 6칸(정면3칸, 측면2칸) | 규모 | 6칸(정면3칸, 측면2칸) | 양식 | 맞배지붕 | 양식 | 맞배지붕 | 기능 | 동궁전 출입문 | 기능 | 후원 출입문 |
무덕전 | 인덕전 |
---|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규모 | 28칸(정면7칸, 측면4칸) | 규모 | 20칸(정면5칸, 측면4칸) | 양식 | 팔작지붕 | 양식 | 팔작지붕 | 기능 | 국내 주요회의 공간 | 기능 | 신하들의 업무공간 | 선광문 | 통천문 |
---|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위치 | 백제문화단지 | 규모 | 6칸(정면3칸, 측면2칸) | 규모 | 6칸(정면3칸, 측면2칸) | 양식 | 맞배지붕 | 양식 | 맞배지붕 | 기능 | 서궁전 출입문 | 기능 | 후원 출입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