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임실 용암리 석등요약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등.
임실 용암리 석등
지정종목 |
보물
|
지정번호 |
보물 제267호
|
지정일 |
1963년 01월 21일
|
소재지 |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734 지도
|
시대 |
통일신라
|
종류/분류 |
석등
|
크기 |
높이 5.18m
|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5.18m이다.
한국 굴지의 거대한 석등으로서 여러 장으로 결구된 8각 지대석 위에 세워져 있다. 하대는 3면이며 모두 안상(眼象)을 새기고 위 아래로 굽을 돌렸고, 그 위의 연화대석(蓮華臺石)에는 복엽(複葉)의 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이 조각되었고, 귀꽃도 조각하였다. 상대 밑부분의 측면에는 잎에 꽃무늬를 장식한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을 조각하였다. 화사석(火舍石:석등의 중대석 위에 있는, 불을 켜는 돌)은 8면에 모두 직사각형 화창(火窓)을 내었는데, 이는 실상사 석등(보물 35)과 개선사지 석등(보물 111)에서도 볼 수 있다. 옥개석 밑면에는 3단 굄을 조각하였다. 추녀의 전각(轉角)은 반전(反轉)을 보이고 전각마다 큼직한 귀꽃이 있다. 경사가 급한 지붕돌 모서리에는 커다란 꽃장식이 달려 있다. 상륜부는 노반(露盤: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과 앙화석(仰花石)만 남아 있다.
조성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