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반

사랑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나 스스로 모두 다 함께

서로 사랑하며 즐겁게 배우는 4학년 1반입니다.

서로 사랑하며 즐겁게 배우는 4학년 1반
  • 선생님 : 김인자
  • 학생수 : 남 12명 / 여 14명

임실군-일실 용암리

이름 박한율 등록일 19.04.23 조회수 43
임실군-임실 용암리 석등
요약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등.
임실 용암리 석등

임실 용암리 석등

지정종목 보물
지정번호 보물 제267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소재지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734 지도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석등
크기 높이 5.18m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5.18m이다.

한국 굴지의 거대한 석등으로서 여러 장으로 결구된 8각 지대석 위에 세워져 있다. 하대는 3면이며 모두 안상()을 새기고 위 아래로 굽을 돌렸고, 그 위의 연화대석()에는 복엽()의 복련(: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이 조각되었고, 귀꽃도 조각하였다. 상대 밑부분의 측면에는 잎에 꽃무늬를 장식한 앙련(: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을 조각하였다. 화사석(:석등의 중대석 위에 있는, 불을 켜는 돌)은 8면에 모두 직사각형 화창()을 내었는데, 이는 실상사 석등(보물 35)과 개선사지 석등(보물 111)에서도 볼 수 있다. 옥개석 밑면에는 3단 굄을 조각하였다. 추녀의 전각()은 반전()을 보이고 전각마다 큼직한 귀꽃이 있다. 경사가 급한 지붕돌 모서리에는 커다란 꽃장식이 달려 있다. 상륜부는 노반(: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과 앙화석()만 남아 있다.

조성시기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임실 용암리 석등 [任實龍岩里石燈] (두산백과)

이전글 순창군 강천사
다음글 군산시-탑동삼층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