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7반

안녕하세요~!

즐겁고 신나게 공부하는 행복공작소입니다.

 

학급 활동 안내 및 소통은 (비공개)밴드를 통해 실시합니다. ^^

행복공작소
  • 선생님 : 최강국
  • 학생수 : 남 14명 / 여 14명

문화유산

이름 전지후 가야팀 등록일 22.09.30 조회수 66
첨부파일

정의

            대가야 권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가야의 금관. 대가야금관.키워드대가야금관금동관리움동경국립박물관개설리움(LEEUM, 옛 호암미술관)과 동경국립박물관에 각기 소장되어 있다. 발굴품은 아니지만 제작기법으로 보면 신라 금관과는 차이가 있고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유물 가운데 전형적인 대가야 유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금관 역시 대가야 시기의 것으로 볼 수 있다. 6세기 전반 무렵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연원 및 변천가야유적에서는 아직 정식 발굴조사를 통하여 금관이 출토된 적은 없고 금동관(金銅冠)과 은관(銀冠)만 출토되었다. 금동관 가운데 고령 지산동32호분 출토품은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제작 의장(意匠)에서 가야 금관과 공통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이 금동관은 초화형(草花形)의 세움장식〔立飾〕이 특징이며 신라의 금동관에 비한다면 세움장식의 형태나 장식이 간략하다. 무덤 주인공이 착장한 것은 아니며 부장된 토기 위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금동관의 제작 전통이 이어져 가야 금관을 탄생시킨 것 같다.내용리움 소장 금관은 대가야 전성기의 금속공예문화를 잘 보여주는 명품이다. 신라의 금관처럼 도식적이지 않으며, 풀잎 모양의 장식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비교적 넓은 관테에 꼭대기가 보주형(寶珠形)을 이루는 초화형 세움장식 4개를 붙였는데, 금실로 고정하고 있어 금못으로 고정하는 다른 관과 차이를 보인다. 이 금관의 출토지에 대한 이론이 있으나 고령 이외의 지역에서 출토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괄유물 중에는 고령 지산동 45호분과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품과 같은 형식의 금 귀걸이가 있어 6세기 전반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이외에 가야 출토로 전하는 금관이 일본 동경박물관 소장 오구라컬렉션〔小倉 Collection〕중에 있다. 이 금관은 가운데에 조금 작은 초화형 세움장식이, 그 좌우에는 두 가닥의 풀잎 모양의 세움장식이 부착되어 있다. 관테와 세움장식에는 파도무늬와 연속점무늬가 표현되어 있다.현황리움 소장품은 1971년 국보로 지정되어 관리중이다. 금관 높이는 11.5㎝, 관테〔臺輪〕지름은 20.7㎝, 관테 너비는 3.6㎝이다. 동경국립박물관 소장품은 동양실에 전시중이며, 관테 지름이 16.9㎝이다.의의와 평가현존하는 2개의 가야금관은 6세기 무렵 대가야 왕의 금관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가야의 빼어난 공예기술과 예술적 안목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가야금관(加耶金冠)

//////////////////////////////////////////////////////////////////////////////////////////////////고리자루 큰 칼

  • 다른명칭

    環頭大刀, 환두대도, 고리 큰 칼

  • 국적/시대

    한국 - 삼국

  • 재질

    금속 - 금

  • 분류

    군사 - 근력무기 - 도검 - 도

  • 소장품번호

    신수 1319 

삼국시대의 칼은 자루 끝 모양을 기준으로 둥근 고리, 둥근 고리 안에 세 개의 가지, 세 개의 고리가 있는 것, 봉황이나 용이 표현된 것 등으로 나뉘어 지는데, 그 중 봉황이나 용이 표현된 것은 최고 지배자들이 소유하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가야 지역에서는 고령 지산동, 합천 옥전동 고분에서 확인되었으며, 신라와 백제 지역에서는 천마총과 무령왕릉과 같은 왕의 무덤으로 보이는 곳에서 출토되었다.이 칼은 둥근 고리안에 목을 겹치며 다른 방향을 보는 용과 봉황이 장식되어 있는데, 용과 봉황은 차이가 없을 정도로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손잡이에는 은실을 촘촘히 감고, 손잡이의 양 끝부분에도 금동판에 두드림 기법으로 용을 장식하였다. 이처럼 화려하게 장식된 용봉황무늬 고리큰칼은 당대 최고의 금속공예기술로 만들어졌으며, 최고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다.

/////////////////////////////////////////////////////////////////////////////////////////////////////////

이전글 신라의 얼굴무늬 수막세-박건
다음글 백제 칠지도 -송주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