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반

5학년 2반은 학교 종이 어플을 통해 소통하고 있습니다.

나도 소중 너도 소중
  • 선생님 : 최현석
  • 학생수 : 남 10명 / 여 12명

세종대왕

이름 신성환 등록일 22.12.09 조회수 16
첨부파일

캡처 

출생 - 사망 1397년 ~ 1450년
본명이도()
이명 : 원정()
시호장헌()
본관전주()
시대 조선
직업 조선조 제4대 임금
가족관계아버지 : 태종()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
저서훈민정음, 월인천강지곡(

[네이버 지식백과] 세종대왕 [世宗大王] (한글글꼴용어사전, 2000. 12. 2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선조 제4대 임금. 성은 전주 이씨(), 이름은 도(), 자는 원정(), 존시는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시호는 장헌(), 묘호는 세종(), 능호는 영릉(). 태종()의 셋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 비()는 심온()의 따님인 소헌왕후() 심씨(). 태종 8년(1408) 충녕군()에 봉해지고, 태종 12년(1412) 충녕대군()에 진봉, 태종 18년(1418) 음력 6월 맏형 양녕대군() 제()가 폐세자() 됨에 따라 왕세자()로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음력 8월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양위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殿)에서 즉위하였다.

세종 2년(1420) 집현전(殿)을 확충, 궁중에 설치하여 학자를 키우고, 학문을 숭상하며, 옛 제도를 연구 검토하게 함으로써 정치와 문물제도를 정리하여 행정체제를 확립하였다.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천문, 도덕, 예의, 문자, 운학, 문학, 종교, 군사, 농사, 의약, 음악 등에 관한 각종 저서를 하게 함으로써 문화 생활에 막중한 지침서가 되게 하였다.

한편 주자소()를 설치하여 새 활자를 만들고 판짜기를 개량하여 인쇄 능률을 올렸는 바, 새로 주조한 활자는 동활자인 경자자(), 갑인자()와 납활자인 병진자()와 효시의 한글 활자가 그것이며, 이 중 갑인자와 한글 활자는 아름답기로 유명한 활자들이다.

세종 15년(1433) 천체측각기인 혼천의()와 간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고, 세종 16년(1434)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발명하고, 세종 23년(1441)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와 하천수()를 재는 수표()를 발명하였으며, 천문, 역서()인 《칠정산내외편()》과 《제가역상집()》을 펴냈다. 그 중 측우기의 발명은 이탈리아 사람 베네데토 카스텔리(Benedeto Gastelli)의 측우기(1639)보다 거의 200년 앞선 세계 최초의 것이다.

화전(), 화포()를 개량하여 우리 나라 무기사상 일대 혁신을 가져왔다. 도량형()의 고정() 실시로 물량거래()의 공정을 기하고, 경제적인 정책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정책상의 제도 마련 기준에 공헌하였다. 《농사직설()》을 편찬 반포케 하여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 조세제도()를 정할 때 온 백성의 민의를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전국 8도의 관민()에게 공법()에 대한 가부를 조사(민주적 여론조사)하는 한편, 전제상정소()를 설치하여 종래에 모순이 많았던 조세제도를 연분구등(), 전분육등()의 54등급으로 확립 실시하여 조선조 5백년 간의 조세제도를 확립하였다.

의료기관을 정비하고,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의방류취()》 등의 의서를 편찬하여 향약()을 개발함으로써 의료 활동의 합리화를 기하였다. 죄수()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감옥 시설을 개선해 주는 한편, 남형()을 금하고 억울하게 죽는 이가 없게 하기 위하여 삼심제도()인 삼복법()을 실시하였고, 배태법()을 둔태법()으로 바꾸어 등과 같은 인체의 중요 기관을 치는 고문을 엄금시키었으며, 법의학서()인 《신주무원록()》을 편찬 발간함으로써 인명치사()의 사건이 생겼을 때에는 살상 검증()에 관한 검시()의 제도를 실시하게 되니, 형정()에 획기적 발전을 보게 되었다.

15세 미만인 어린이와 70세가 넘는 늙은이는 살인죄나 강도죄가 아니면 가두지 못하게 하고, 10세 이하와 80세 이상인 이는 사형에 해당되는 죄를 범했더라도 가두지 못하게 하였으며, 천민인 노비()를 하늘이 낸 백성으로 인정해 주었다. 관비()의 출산 휴가를 대폭 늘려 주었다.

세종 25년(1443) 친히 [훈민정음()]을 창제 이에 대한 자세한 풀이를 집현전 학사 등에게 하게 하여 만든 해설서인 《훈민정음》이란 책을 만들어 이와 함께 세종 28년(1446)에 반포하고, 《용비어천가()》, 《석보상절()》을 짓게하고, 운서인《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등을 편찬 발간하게 하는 한편 스스로 《월인천강지곡()》을 지어 내기도 하였고, 한문으로 된 경서()와 문학서 및 불경()을 번역하게 하였으며, 또 이과()와 이전() 시험에 [훈민정음]을 시험 과목으로 정하는 등 훈민정음 보급에 크게 힘썼으니, 우리 문자 생활에 일대 혁신을 가져오게 하였다.

박연()을 시켜 향악()과 아악()을 짓거나 정리하고, 편경()과 편종() 등의 악기()를 제작하게 하였으니, 정간보()의 창안은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이고, 《세종악보()》는 우리 아악의 연총()일 뿐 아니라 동양의 고전 음악 연구에 절대적인 자료이다.

역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고려사()》 등을 편찬하고, 《효행록()》과 《삼강행실도()》를 지어 풍속을 권려하였고, 《명황계감()》을 지어 후세에 제왕의 일락()을 방지하고자 하였고, 《자치통감훈의()》와 《치평요람()》을 엮어 흥망 성쇠를 본받도록 하였고, 《역대병요()》를 엮어 전쟁을 잊지 않도록 하였다. 전주 출척()의 법이 지극히 정밀하고 잘 갖추어져 현량()이 등용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종대왕 [世宗大王] (한글글꼴용어사전, 2000. 12. 2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캡처
이전글 정약용
다음글 신사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