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지 강수진 강승희 김가은 김민서 김민주 김서희 김세인 김예지 김유림 김유민 김현아 마서경
박지우 백윤서 송도담 이명지 이서영 이수빈 이지민 장세영 최세영 태민정 함수빈 황지영
사랑합니다 ♥
2019년 올 한해, 매 순간마다 간절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3학년 10반이 되었으면 합니다. '~'
[참고사이트]
* 대입정보포털(4년제) : http://www.adiga.kr
* 전문대학포털 : http://www.procollege.kr
* 메이저맵 : http://www.majormap.net/
6월 추천 도서 |
|||||
---|---|---|---|---|---|
이름 | 김현아 | 등록일 | 19.05.03 | 조회수 | 29 |
첨부파일 | |||||
양심껏 정해진 달 것의 추천 도서를 보기를 희망(hope)합니다. 도서명: 구운몽 ( 고전문학에서 많이 나오는거 그거 맞음.) 개인적으로 고전소설같은 내용을 좋아하기때문에 재미있게읽었다. 해제: 한국 고전소설 중 최고 명작을 말하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첫손에 꼽는다. "구운몽"은 불교의 공(空)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불승인 성진의 세계와 관료인 양소유의 세계가 몽중 액자형식을 통해 대조적으로 교섭하면서 불교의 적멸주의와 유교적 공명주의를 대비시켜 인간의 삶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조명한 작품으로, 사상적 깊이나 인물의 행위와 사건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는 소설의 기법 면에서 고전소설의 백미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흔히 "구운몽"은 일찍이 도암 이재(陶庵 李縡)가 언급한 대로 세속의 부귀공명이 일장춘몽과 같이 허망하다는 것을 깨닫고 불교의 세계로 귀의하는 내용을 담아낸 것이라고 말하여 왔다. 또는 양소유의 여성 편력이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본능적 욕망을 절제하는 교육을 받았던 사대부가 억압된 욕망을 상상의 세계 속에서 마음껏 발현하는 작품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구운몽"의 특정 부분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품 전체를 통해 구현하려 했던 전체적 의미와는 다른 것이다. -------출처: 서울대 학생을 위한 권장 도서 |
이전글 | 7월 추천도서 |
---|---|
다음글 | 5월 추천 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