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6학년 7반입니다.
급훈을 비롯하여 모든 사항은 학생들 스스로 중심이 되어 만들었습니다. 구성원 모두 잘 지켜주는 학급이 되길 바랍니다.
올 한 해는 공부를 통한 성적 향상보다는 자신의 삶을 확립(학습 방법/ 친구 사귀는 방법/ 자기 관리 방법 등 알기)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속담 수행평가 1차 답안지 |
||||||||||||||||||||||||||||||||||||||||||||
---|---|---|---|---|---|---|---|---|---|---|---|---|---|---|---|---|---|---|---|---|---|---|---|---|---|---|---|---|---|---|---|---|---|---|---|---|---|---|---|---|---|---|---|---|
이름 | 송제헌 | 등록일 | 25.07.04 | 조회수 | 40 | |||||||||||||||||||||||||||||||||||||||
첨부파일 |
|
|||||||||||||||||||||||||||||||||||||||||||
속담 수행평가 1차 답안지입니다.
※[1~12] ○안에 옳은 낱말을 쓰시오.(각 1점) 1. 전성기의 한계가 짧음을 빗대어 풍자할 때 쓰는 속담
( 메뚜기 ) 2. 사람은 어려운 시련과 고통을 겪어 보아야 삶의 참된 보람을 알 수 있게 됨을 이르는 속담
( 겨울, 봄 ) 3. 가까이 있어도 도리어 알아보지 못하거나 찾지 못하는 경우를 이르는 속담
( 등잔 ) 4. 실속 없는 사람이 겉으로 더 떠들어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속담[두 단어로]
( 빈 수레 ) 5. “여러 사람이 제 뜻대로 하려 들면 일이 제대로 되기 어렵다.”라는 것을 비유한 속담
( 사공, 배, 산 ) 6. 어떤 일이든 핑계가 있음을 뜻하는 속담
( 무덤 ) 7. 아무리 뛰어난 생각이라도 실제로 실행할 수 없으면 헛된 공론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의 속담
( 고양이, 방울 ) 8. 아무리 귀한 물건이나 뛰어난 환경을 주어도, 그것을 알아보거나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뜻의 속담.
( 돼지, 진주 ) 9. 배가 고프면 무엇이나 맛있다는 뜻의 속담
( 시장 ) 10. 집안에 잔말이 많아 화목하지 못하면 살림이 잘 안된다는 의미로, 말이 많고 과하게 간섭하는 환경에서는 좋은 결과나 기쁨을 누리기 어렵다는 것을 강조한 속담. 비슷한 뜻의 속담으로는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가 있음.
( 장맛 ) 11. 있지도 않은 일이 일어날거라고 생각하고 그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쓸데없이 실망한다는 뜻의 속담.
( 김칫국 ) 12. 아무리 궁하거나 다급한 경우라도 체면을 깎는 짓은 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속담
( 양반, 짚불 ) ※[13~24] 다음 속담의 뒷부분을 쓰시오.(각 1점) 13. 오뉴월 손님은 호랑이 보다 무섭다. 14. 가을 무껍질이 두꺼우면 겨울이 춥다. 15.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16. 집 떠나면 고생이다. 17. 절에 가서 빗장사 한다. 18.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19.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20.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게 없다. 21. 말이 씨가 된다. 22. 수박은 속을 봐야 알고 사람은 지내봐야 안다. 23. 홈통은 썩지 않는다. 24. 가재는 게 편 ※ [25-29] 다음 뉴스를 읽고 상황에 가장 알맞은 속담을 쓰시오.(각 4점) 25.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26.
그림의 떡 27.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28.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29.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30] 다음 보기의 속담 중 두 가지를 활용하여 짧은 일기를 써 보시오.(10점)
※ [31-36] 두 속담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를 쓰시오.(각 2점) 31. ? ___ 꿩이 제 울음에 죽는다. ? 가을 식은 밥이 ___ 양식이다. 봄 32. ? ______ 도둑이 소도둑 된다. ? ______ 가는 데 실 간다. 바늘 33. ? ___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___가 듣는다. 쥐 34. ? 발 없는 ___이 천리 간다. ? ___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말 35. ? 봄바람에 오그라든 _________ ? _________ 기운 좋은 것과 가을 날씨 좋은 것은 믿을 수 없다. 늙은이 36. ? 대포로 ______ 쏘는 격 ? ______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랴. 참새 ※ [37-42] 다음 속담의 뜻을 쓰시오.(각 3점) 37. ? 여름벌레가 얼음을 얘기한다. 제 처지에 맞지 않는 엉뚱한 소리를 함을 비꼬는 말 38. ? 싼 게 비지떡 싼 것이라서 질이 나쁘다는 의미 39. ? 산 넘어 산 고생이 갈수록 더 심해짐 40. ?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불러야 흥이 나지, 배가 고파서는 아무 일도 할 수 없음. 41. ?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잘못을 숨기기 위해 얕은 수를 쓰는 사람을 풍자하는 속담으로, 자신의 잘못을 감추거나 변명하기 위해 엉뚱한 증거를 내세우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42. ? 고양이 밥 먹듯 하다. 음식을 먹는 양이 몹시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43-50] 다음 뜻에 맞는 속담을 아래 보기에서 골라 기호를 쓰시오.(각 2점) 43. ? 단풍잎도 가을이 되어야 떨어진다는 말로, 무엇이나 제 때가 있다는 뜻 ( 7 ) 44. ? 가을에 밭농사가 끝난 뒤에는 그 밭을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는 말 ( 13 ) 45. ? 큰 추위의 고비만 넘기면 따뜻한 봄이 올 것이라는 의미의 속담 ( 2 ) 46. ? 임시방편으로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추어 처리는 할 수 있어도 그 효력이 오래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사태가 더 나빠지게 된다는 말 ( 5 ) 47. ? 마음이 문제이지 장소나 형식이 문제가 아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9 ) 48. ? 시간과 장소를 가려 행동하라는 뜻의 속담 ( 11 ) 49. ?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서 금품을 뜯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4 ) 50. ? 큰 일을 이루려면 그만한 위험과 수고를 겪어야 한다는 뜻 ( 3 )
|
다음글 | 2025 속담 수행평가 자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