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6학년 3반 학급 홈페이지입니다.

스스로 실천하고 함께 성장하는 교실
  • 선생님 :
  • 학생수 : 남 0명 / 여 0명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합니다.

이름 성유경 등록일 25.10.23 조회수 5

여러분은 멸종위기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멸종위기종이란, 개체수가 매우 적거나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멸종의 위험이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요즘 멸종위기종이 점점 늘어나고있습니다. 이대로 계속되다간 수많은 종들을 볼 수 없게 될겁니다. 저는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하는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생태계 균형 붕괴입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 종의 멸종이 먹이사슬과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려 인간에게도 피해를 주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생물종이 멸종하면 연쇄적으로 그와 관련된 다른 생물종도 생존의 위협을 받게 됩니다. 멸종이란 것은 먹이사슬의 한 부분이 사라진다는것이므로 예를 들어 식물이 없어지면 곤충,나비,쥐가 먹을게 없어 죽고 또 곤충,나비,쥐가 없어지면 뱀,새가 먹을게 없어 죽고 뱀,새가 없어지면 독수리가 먹을게 없어서 죽게됩니다. 이런식으로 먹이사슬은 서로서로 영향을 미치기때문에 결과적으로 우리가 마지막으로 피해를 입게됩니다.

 

둘째, 인간의 건강과 안전입니다. 여러분은 '페니실린'을 알고계신가요? 페니실린은 인류 최초의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해 사멸시키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입니다. 이런 페니실린은 푸른곰팡이에서 추출한다고합니다. 이렇듯 동물과 식물은 우리 인간의 건강을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나의 종이 멸종한다는 것은 인류가 누릴 수 있는 지구의 자원이 하나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물, 식물의 몇몇 종들이 멸종위기가 되고, 먼 훗날 결국 멸종이 되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이익이 줄어들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유엔식량농업기구(UNFAO)에 따르면 100대 작물 중 71종이 꿀벌에 의해 수분된다고 합니다. 이 100종의 작물은 전세계 식량의 90%를 담당합니다. 사과, 딸기, 양파, 호박, 당근 등은 꿀벌에 의한 수분 의존율이 90% 이상이고 아몬드는 꿀벌에 100% 의존한다고합니다. 하지만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꿀벌이 점점 사라지고있습니다. 벌이 없다면 벌에 의해 꽃가루받이를 하는 꽃들도 꽃가루받이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아몬드, 사과 등등을 먹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 말고도 멸종위기종을 지켜야하는 이유들은 많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우리는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합니다. 이젠 멸종위기종과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알고 작게나마 멸종위기종 보호에 참여해보면 어떨까요?

이전글 노동자의 인권
다음글 재생 에너지를 사용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