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신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미세먼지 대응
좋아요:0
작성자 은희광 등록일 17.04.19 조회수 165
첨부파일



  학부모님께,
  최근 다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의 건강상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의 위해성과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행동요령을 안내해 드리며, 학생들이 등교 및 외출 시 인증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 미세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
 ○ 미세먼지(PM₁₀) : 대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중 직경이 10㎛ 이하의 먼지 (10/1000mm 보다 작은 먼지)
 ○ 초미세먼지(PM₂﹒₅) : 대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중 직경이 2.5㎛ 이하의 먼지 (2.5/1000mm 보다 작은 먼지)

• 황사와 미세먼지의 차이
 - 황사는 바람에 의해 하늘 높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 또는 떨어지는 흙모래로 주로 자연적 활동으로 발생. 칼슘, 철분,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토양성분을 주로 포함한다.
 -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 작용에 의해 발생하므로 황산염, 암모니아 등의 이온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이루어진다.

‣ 미세먼지 : 머리카락의 1/5~1/7
‣ 초미세먼지 : 미세먼지의 1/4
‣ 초미세먼지 : 머리카락의 1/20(30)

 □ 미세먼지의 위해성

‣ 입자가 미세하여 코, 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몸속에 흡입됨
‣ 먼지가 몸 속으로 들어오면 면역 담당 세포가 먼지 제거
   - 부작용으로 염증반응 : 천식, 호흡기(폐렴, 폐암,  만성폐쇄성 폐질환, 특발성 폐섬유화 등), 심혈관계  (협심증, 뇌졸중) 질환, 조기 사망률 증가 등
   사망률 관련 연구결과(‘09 국립환경과학원·인하대)

(PM₁₀) 농도가 120~200㎍/㎥ 경우 만성천식 환자 10% 증가
(PM₁₀) 농도가 201~300㎍/㎥ 경우 급성천식 환자 10% 증가
(PM₂﹒₅) 농도가 36~50㎍/㎥ 경우 급성폐질환 환자 10% 증가
(PM₂﹒₅) 농도가 51~80㎍/㎥ 경우 만성천식 환자 10% 증가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함
(석면, 벤젠, 벤조피렌, 술, 담배, 매연, 방사선,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이 포함)


이전글 자녀사랑하기 3호 - 건강한 교우관계
다음글 2017년 초·중·고 학생 교육정보화 지원사업(컴퓨터 및 인터넷사용료 지원)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