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중.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칼럼1-예악(禮樂)을 논(論)하다.
작성자 *** 등록일 20.06.01 조회수 2255

6월 12일(금), 함께 이야기할 칼럼입니다.

이해될 때 까지 여러번 읽고, 많이 생각하고 참여해주세요. 따뜻한 차한잔과 그대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네요.

칼럼 맨 밑에 '생각거리'가 진짜 생각해와야 할 거리 랍니다~^^

 

예악(禮樂)

30

1. 철학

()와 악()으로 사람들을 교화함으로써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보는 유가(儒家)의 가치 체계. 공자는 예와 악을 인간성의 본질인 인()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보았다.

2. 공자

공자의 사상을 담은 논어에 따르면 예()는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범형식을 뜻한다. 그리고 예()를 조화롭게 만드는 수단으로 악()이 등장한다. 은 음악이며 공자는 사람이 음악을 즐겨야 음악 안에 내재된 조화로움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을 와 접목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결국 는 질서적인 측면을 은 조화로운 측면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공자는 인격도야에 의한 인간완성의 최고 방편으로 예술을 들고 있다. 은 인격완성에 노력하는 개인에 있어서나, 화평하고 질서있는 인간사회를 구현하는데 있어서나 위대한 효용이 있으므로 군자는 을 잠시라도 우리 몸에서 떠나게 할 수 없다.

3. 순자

오직 군자만이 악()을 알 수 있으니 성()을 살펴 음()을 살펴 을 알고 을 살펴 정치를 알게 되면 치도(治道)를 갖추게 된다. 그러므로 성을 알지 못하는 자와 더불어 음을 말할 수 없고, 음을 알지 못하는 자와는 을 말할 수 없으니, 악을 알면 예()에 가깝게 된다.

음악()이란 성인이 즐겼던 바이고, 그것을 가지고 백성의 마음을 선하게 할 수 있다. 음악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어 풍습과 풍속을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선왕이 와 음악(禮樂)으로 이끌면 백성들이 화목했던 것이다.

4. 정약용

지금 세속의 음악은 음란하고 슬프고 바르지 못한 소리이다. 그러나 한창 음악을 앞에서 연주할 때는, 관장(官長)은 그 하급관리를 용서해주고, 가장(家長)은 자기 동복(?僕)을 용서해준다. 세속의 음악도 오히려 그러한데, 더구나 옛 성인(聖人)의 음악은 어떠하겠는가? 그러므로 예악(禮樂)”은 잠깐동안이라도 몸에서 떠나게 할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성인이 어찌 그렇게 말하였겠는가? 음악을 일으키지 않으면 교화도 끝내 시행할 수 없고 풍속도 끝내 변화시킬 수 없어서 천지의 화기(和氣)에 끝내 이르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여유당전서

음악을 통하여 개인은 심성을 고양시킬 수 있고, 사회는 조화를 이루게 된다.

생각거리?

-현대사회에서 예악(禮樂)의 필요성?

-예약사상을 내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이전글 칼럼2-예악(禮樂)에 미(美)를 그리다.
다음글 "예악(禮樂)" 자율동아리 운영 및 프로그램 세부 계획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