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상담실 운영 계획 |
|||||
---|---|---|---|---|---|
작성자 | 박현희 | 등록일 | 20.09.28 | 조회수 | 59 |
영양상담실 운영 1) 목적 식생활에서 기인하는 영양불균형을 시정하고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저체중 및 성장부진, 빈혈, 과체중 및 비만학생 등을 대상으로 영양상담과 필요한 지도를 실시한다. 2) 기본방침 과학적이고 건강지향적인 영양관리로 학생의 건강증진과 자기건강관리 및 올바른 식사선택 능력을 배양한다. 3) 필요성 ? 성장기 학생들의 불규칙한 식사와 편식, 폭식,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은 패스트푸드의 지나친 섭취 등 잘못된 식생활은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비만아동과 저체중 아동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식행동과 관련된 문제로는 아침결식 및 편식을 하는 아동의 비율이 높고 건강에 위해가 되는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은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의 섭취빈도가 높으며 최근 체중감량을 위한 절식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 ? 이와 같은 식행동은 영양섭취의 불균형으로 나타나게 되어 비만과 같은 영양과잉문제와 저체중이나 빈혈과 같은 영양결핍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4) 대상 ① 저체중 ? 저체중은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의 80%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저체중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양불량증으로 활동량에 비해 먹는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낮을 때,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 흡수되지 못하거나 편식이 심할 때, 결핵이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과 같은 소모성 질환이 있을 때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등으로 인한 식욕부진이 있을 경우에 생긴다. ? 항상 피로하고 머리가 무거우며 동작이 바뀔 때 어지럽고 활력이 떨어져 만사에 의욕이 없게 되고, 심화되면 극심한 영양실조를 초래해 저체온, 빈혈, 저혈압, 저항력감소, 골다공증 등의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성장부진 ? 영유아와 소아의 성장과 영양상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서 키와 체중의 증가 정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우를 말한다. ? 성장부진은 영양불량 상태이며, 성장지연으로 특정 지워지고, 종종 질병, 활동량의 저하, 인지능력저하, 학교생활 적응력 저하, 운동과 사회성 발달의 지체가 동반될 수 있다. ③ 빈혈 ? 빈혈이란 혈액내의 적혈구수, 혈색소(헤모글로빈)의 양, 혈구의 용적등이 정상보다 감소되어 혈액이 묽어져 있는 상태이다. ? 빈혈의 증상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로 안색이 나쁘고 피곤해지기 쉬우며, 팔다리가 저리거나 쥐가 나는 증세가 있으며, 약간의 운동으로도 가슴이 울렁거리고 일어섰을 때 현기증이 올 수 있다. 빈혈은 그 자체로는 증상일 뿐 질병은 아니나, 다양한 질병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서 치료할 필요가 있다. ④ 소아비만 ? 비만은 우리 몸에 지방세포수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켜져 피하층과 체조직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보통 신장별 표준체중의 비교체중이 120~129%를 경도비만, 130%이상을 중등도 비만이라고 한다. ? 소아비만은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의 비만을 말하며 지방세포의 크기만 커지는 성인비민과 달리 지방세포의 수도 증가하나. 소아비만은 제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 및 자신감저하, 우울감 증대 등 정신.사회학적 문제를 동반하게 되므로 조기에 예방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
다음글 | 2018.하반기 영양상담실 운영 계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