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풍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안내
작성자 오승현 등록일 19.02.08 조회수 166
첨부파일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에서는 방과후 청소년들이 재미와 휴식은 물론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양한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방과후 돌봄과 맞춤형 활동지원이 필요한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급식지원, 상담, 학업지원, 진로탐색, 전문체험활동 등을 전국 280(‘19.1월 현재)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에서 지원

방과후 또래 친구들과 재미있고, 유익한 체험활동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전문 강사진의 교과학습, 독서 지도 등을 통해 평소 부족한 학업을 보충할 수 있어 참여 청소년들과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창의융합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에 도입하여 참여 청소년들을 자기주도적인 리더로 육성해 나가고, ‘진로체험지원센터등과 협력하여 청소년의 꿈과 적성에 맞는 진로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을 배양하는 교육, 자율적 창작과정을 통한 창의성 개발 등

방과후 돌봄과 재밌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싶은 청소년, 학부모님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참여대상 : 4~3, 방과후 돌봄 및 활동이 필요한 모든 청소년

신청방법 : 지역별 방과후아카데미 운영기관에 문의(아래 링크 검색 활용)

신청기간 : 연중

문의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02-330-2831~4, 홈페이지(www.youth.go.kr/yaca/index.do)

 

참고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현황

 

전북지역 운영기관 현황

기관명

주소

연락처

군산시

군산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군산시 양안로 133

063-451-7942

군산청소년수련관(초등)

전라북도 군산시 청소년회관로 75 1

063-461-4166

군산청소년수련관(중등)

전라북도 군산시 청소년회관로 75 1

063-461-4166

남원시

남원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남원시 관서당길35

063-626-1388

부안군

부안군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예술회관길 11(서외리 455-41) 부안예술회관 내 1

063-580-4744

순창군

순창군청소년센터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 233-1

063-652-1318

완주군

완주군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하보상길 18-9번지

063-262-7942

완주군청소년수련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봉로 125 완주군청소년수련관

063-290-2627

익산시

 

익산시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익산시 배산로 189-10

063-856-7179

익산시청소년수련관

전라북도 익산시 동서로 476-21(어양동 54-6) 2

063-838-6242

임실군

임실군청소년수련원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296-24

063-644-0388

전주시

덕진동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541-11

063-273-7997

솔내청소년수련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동부대로 1079

063-278-5288

전주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진로 15-14

062-273-5501

효자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완산구 우전 220

063-236-7142

완산청소년문화의집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선너머237

063-226-5194

정읍시

정읍청소년수련관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사로 547

063-533-7959

진안군

진안군청소년수련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054-14

063-433-0080

 

지원서비스

구 분

내 용

전문체험

활동과정

예술체험활동, 과학체험활동, 직업개발활동, 봉사활동, 리더십개발활동 등 강습 형태가 아닌 체험활동 위주로 청소년들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운영

기초학습

과정

보충학습지원

청소년들의 자율적인 숙제, 보충학습지도, 독서지도 등의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

주요교과목지원

전문 강사진의 교과학습 중심의 학습지원

자기개발

활동과정

청소년들이 중심되는 활동(자치활동, 동아리활동 등), 체험활동의 성격으로 담당 실무자 운영(지역사회 연계하여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도 가능)하는 등 체험활동 중심운영

특별지원과정

청소년캠프, 부모교육, 발표회 등 특별프로그램 지원

생활지원

급식, 상담, 건강관리, 생활일정 관리(메일링서비스) 등의 생활지원

이전글 2019년도 1기 군산교육문화회관 학생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안내
다음글 2019학년도 영어회화전문강사 최종 합격자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