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인권교육 |
|||||
---|---|---|---|---|---|
작성자 | 조성화 | 등록일 | 17.04.05 | 조회수 | 352 |
<교사 인권교육 연수자료 2017.4.3> ▣ 교사 활동 – 체벌 없는 교실 만들기 1 단계 : 자신의 대응 유형 살펴보기 체벌을 하는 교사들 중에 대부분은 아이들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아이들이 자신의 말을 전혀 듣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행동이나 말에 대해서 민감한 교사도 교사 자신의 대응에 대해서는 너무나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말이나 행동에 따라 자신의 대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대화법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왜냐 하면 아이들은 교사의 행동이나 표정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교사의 태도들 중 대표적인 문제있는 대응 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말 너무 많은 잔소리 / 호통치기 / 무시하기 / 인격 모독하기 / 위협하기 / 비아냥거리기 강제로 명령하기 / 비교하기 / 불분명한 의사 전달 / 감정에 격해 이야기하기/ 목소리 높이기로 위협하기 / 얼렁뚱땅 넘어가기 / 자신의 말만 계속 하기 / 욕설하기 / 아무말 하지 않기 / 고함치기 2) 표정 무표정한 얼굴 / 시선을 마주하지 않음 / 귀찮은 표정 / 화난 얼굴 / 노려 보기 / 찡그리기/ 분을 참는 표정 /
3) 행동 한숨 내쉬기 / 손가락 하나로 가리키기 / 고개를 좌우로 흔들기 / 물건을 집어 던지기 고개를 돌리고 이야기 하기 / 탁자를 땅땅 치기 / 손으로 밀치기 / 머리를 손으로 건들기 볼을 꼬집기 / 회초리 등의 도구를 사용하기 / 팔장끼고 앉아 있기
아이들과의 일대 일 대화나 수업 등의 의사 소통에서 아이들의 소위 “버릇없는 행동”은 문제가 될 수 있어도 교사의 “대응”은 문제 될 것이 없다라는 생각에서 먼저 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사 자신의 잘못된 말과 행동은 이미 아이들과의 의사 소통 속에서 습관화된 방식이기 때문에 쉽사리 고쳐지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하나하나 자신의 태도를 고쳐 나간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조금씩 아이들과의 관계가 변화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2 단계 : 교사의 감정적 대응 자제하기 만약 아이들의 행동이나 말에 의해 감정이 폭발 할 상황이라면 먼저 감정을 자제하고 효과적으로 교사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는 방법을 간단히 제안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더 이상의 대화를 중단하고 크게 2-3회 심호흡을 합니다. - 감정을 안정시키는 데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아이와 계속적으로 의사 소 통을 하는 것보다는 잠시 자리를 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왜 화가 나는지 생각해 보기 - 자신이 화가 난 이유를 따져 봅니다. 예를 들어 지각을 한 아이와 이야기를 하는 도중, 화가 난 경 우에 교사는 아이가 건성으로 대답하는 것 자체 화가 났음에도 아이에게는 “지각 한 것”+ “건성으 로 대답한 것”을 함께 해서 대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교사는 자신이 무엇 대문에 화가 난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분노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 습니다. 3)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 교사가 아이에게 화가 난 이유를 꼼꼼히 생각했다면 그 부분이 무엇인지 아이에게 정확히 알려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기 보다 호통이나 체벌을 하는 것에 익숙한 교사들에게 이러한 감정 표현은 어려운 일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음의 방식들을 참고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노력하면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아이에게 전달하며 아이와의 갈등을 증폭시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① 말로 표현하기 - 아이 키에 맞춰 무릎을 꿇거나 앉아서 이야기 합니다. - 아이의 어깨나 팔을 부드럽게 잡고 이야기 합니다. - 아이의 눈을 바라보고 이야기 하지만 노려봐서는 안 됩니다. - 분명하고 확실한 목소리로 이야기 하지만 짜증내거나 성내는 목소리가 아니라 교사의 감정을 이해 시키려고 노력합니다. - 말할 때는 진지하게 이야기 합니다. - 아이가 교사의 말을 계속 무시한다면 아이와의 관계에서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 아이의 말을 들을 때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 하면서 들으려고 노력합니다. - 아이가 의견을 말하면 중간에 말을 막지 말고 끝까지 들어 줍니다. ② 글로 표현하기 - 감정이 너무 격양되어서 말로 하기 어려울 경우나 아이가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할 때 사용 합니다. - 아이들 전체에게 이야기 할 때에는 칠판을, 개별적 아이에게는 편지나 쪽지를 이용합니다 - 아이들이 글 내용에 반응을 보일 때가지 기다립니다. 3 체벌을 대체할 방법 모색하기 체벌의 대안으로 “긍정적 상호의존(positive inter dependence)"을 통해 민주적인 가치의 지지와 학생들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협동학습을 도입하는 시도는 체벌에 대한 형식적인 금지보다는 질적인 변화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전글 | ○ 제1회 청소년 어울림마당 행사 개최 ○ |
---|---|
다음글 | 학부모 인권교육 -가정에서의 인권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