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곡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상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코로나19극복] 10대들이 호소하는 5가지 트라우마와 이를 예방하는 5가지 백신&대화법
작성자 홍유진 등록일 20.10.05 조회수 180
첨부파일

10대들이-호소하는-5가지-트라우마와-예방백신1
 외로움 비상! 존재감 비상! 사이버 따돌림 & 관계공격 비상! 
아이들의 구조 신호를 알아주세요, 아이들의 트라우마를 도와주세요!


※ 코로나 시기 힘들어진 아이들이 호소하는 5가지 트라우마


2-9-1024x10242
장기화되는 코로나 감염 속에서 1학기부터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이 가장 크게 미치는 세대는 아마도 10대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청소년기 특유의 외로움, 존재감과 정체성에 대한 확인 욕구, 또 사이버상의 관계 공격이나 따돌림으로 무척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의 호소가 늘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을 오해하는 어른들이 너무 많습니다. 부모님들이나 어른들이 학교 가지 않고, 스마트폰 실컷 하면서 편히 지낸다고 오해하면서 내뱉는 말들에 아이들은 속마음으로 상처를 크게 받는다고 합니다.


아주 힘들어하는 아이들이 호소하는 코로나 시기 청소년들의 트라우마는 다음의 5가지 라고 합니다.


3-9-1024x1024 

1.사회적 단절 - 외로움 트라우마
: 친구를 만나지 못하는 사회적 만남의 박탈
: 가족만큼 가까운 친구들과 만나지 못하는 외로움
: 존재감에 대한 걱정, 잊힐까 봐 두려운 마음
: 희박해진 학교, 학급에 대한 소속감과 불안감: SNS 상으로 소통하면서 생긴 오해와 소문, 사이버 따돌림과 괴롭힘

 

2.위생수칙 강조 - 잔소리 트라우마
: 마스크에 대한 잔소리
: 손 씻기에 대한 잔소
: 위생 수칙에 대한 종합적인 잔소리


4-9-1024x1024 

3.불규칙한 일정 - 일상유지 트라우마
: 잦은 일정의 변경
: 온라인 수업 참여의 어려움
: 불규칙한 생활의 어려움

 

4.코로나로 인한 부족 - 결손 트라우마
: 놀았다는 비난
: 제대로 한 것이 없다는 주변 어른들의 걱정
: 뭔가 제대로 배운 것이 없다는 기분
: 공허한 기분

 

5.조절 곤란 - 중독 트라우마
: 조절이 쉽지 않은 온라인 드라마 정주행
: 조절이 쉽지 않은 게임
: 조절이 쉽지 않은 유튜브 시청
: 그러려고 하지 않았는데, 손에서 떨어지지 않아, 반복되는 조절 실패의 괴로움

 

 

알아주시고 도와주세요!


5-9-1024x1024 
청소년들의 우울과 극단적 선택을 예방하는 5가지 백신과 대화법

 

1.친구 백신 : ‘혼자 집에만 있으면서 놀고 있으니 정말 좋겠다’라고 하지 마시고,

외로움과 두려움을 알아주시고, 친구에게 연락하고, 함께 산책이라도 하고 오라고 해주세요.

 

2.격려 백신 : 마스크 쓰기, 손 씻기를 열심히 하는 청소년들에게 위생수칙을 지키려고 노력해주고,

마스크 스트랩도 준비해주시고, 좋은 향의 비누도 선물해주세요.


6-7-1024x1024 

3.규칙 백신 : 일정을 함께 확인해주시고, 알람도 서로 맞추어놓고, 불규칙한 일정을 잘 상기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고 도와주세요.

 

4.안심 백신 : 코로나 시기 누구나 예전에 하던 방식 그대로, 예전에 했던 만큼 그대로 할 수 없었습니다.

한 것이 없다는 것을 부각하지 마시고, 그래도 잘했던 것들을 알려주세요.

 

5.조절 백신 : 많은 어른도 코로나 시기 스마트폰으로 보고 있는 여러 콘텐츠로 인해 잠도 설치고 생활이 어렵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조절 계획을 잘 짜고 그 계획을 잘 지켰을 때 많이 칭찬해주세요.

 

 

 

그럼 어떻게 말하는것이 좋을까요??


7-4-1024x1024 

1.놀면서, 집콕하니 정말 좋겠다
-> “학교 가지 않고 지내니, 친구도 못 만나고 답답하겠구나.”

 

2.마스크 좀 제대로 쓰고, 손 좀 제발 철저히 씻어라
-> “마스크 쓰기 힘들지? 그렇지만 사람들과 지낼 때는 노력해주길 바란다.”

 

3.일정 좀 똑바로 챙겨라, 지금 자고 있으면 어떻게 해
-> “일정을 함께 이야기하고, 같이 알람 맞추고 까먹지 않게 잘해보자.”

 

4.이렇게 공부 안 하고 놀고 지나가서 어떻게 하냐
-> “힘든 시기에 그래도 기본은 잘 하고 있는 것 같다. 조금만 더 챙겨보자.”

 

5.스마트폰 하느라 하루가 가는 줄 모르고 지내네.
-> “심심하고 지겨우니까 자꾸 스마트폰을 찾게 되는구나, 산책도 하고 좀 할 수 있는 활동을 만들어보자.” 

 

8-3-1024x1024


출처: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코로나 시기 10대들이 호소하는 5가지 트라우마와 이를 예방하는 5가지 백신&대화법


※ 저작권법(제25조2항)에 따라 학교 수업(상담)을 위한 저작물은 본 홈페이지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이 외의 공간에서 저작물을 공유 또는 게시하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2020년 또래상담부(+명예경찰단) 교육활동 사진
다음글 [코로나19극복] 부모용 소통과 돌봄의 우리아이 마음지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