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감사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우기 |
|||||
---|---|---|---|---|---|
작성자 | 김미영 | 등록일 | 23.11.27 | 조회수 | 61 |
어떻게 할까요?? 1단계 모범을 보여주세요.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방법이 바로 부모님께서 모범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물론 부모님이 하루 종일 감사한 일만 찾아다닐 수는 없습니다. 힘들고 불평할 일이 있어도 아이들 앞에서는 조심해주세요. 아이들에게 말과 행동이 일치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2단계 남에게 베풀어주세요. 부모님께서 늘 감사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반대로 다른 누군가에게 베풀고 상대방에게 인사를 받는 일도 많아지고 자연스러워져야 합니다. 내가 느낀 고마움의 감정을 다른 이들과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아이가 베푸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함께 해주세요. 3단계 작은 일에도 감사하도록 지도해주세요. 가정에 자녀 수가 적어지면서 아이들은 풍족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받는 것이 당연해진다면 아이들이 감사와 소중함을 느끼게 될 기회가 없어집니다. 아주 작은 선물이나 간식에도 인사를 하는 연습을 시켜주세요. 아주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해보세요. 4단계 칭찬해주세요.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을 과하게 꾸짖기보다는 아이들의 잘한 행동에 대해 많이 칭찬해 주세요. 아이들은 자신이 칭찬받았던 행동을 반복합니다.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표현하거나 다른 대상에게 무엇인가를 베풀었을 때 바로 칭찬해주세요. 베푼 양, 표현의 크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한 행동에 대해 충분히 칭찬해주세요.
이렇게 해보세요. 1. 감사와 자만 사이 아이들은 자신에게 이미 주어진 다양한 조건에 대해 감사하기보다는 당연하게 생각하고 자만하기 쉽습니다. 주변에 조건이 다른 친구들이 있다면 더 그럴 수 있습니다. 자신이 타고난 것이 아닌 부모님께서 제공해주신 것에 감사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2. 적당히 적당히 많은 아이들이 풍요로운 환경 속에서 생활합니다. 우리 아이를 감사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차고 넘치는 것보다 약간은 부족한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느끼는 필요를 채워주시는 부모님들께 감사할 줄 알도록 적당히 제공해주세요. 3. 허풍은 금물 운동이나 음악 등 각종 경연에서 상을 탔을 경우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부풀려서 자랑하거나 상을 받지 못한 아이를 깔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튼튼한 체력, 각별한 재능, 신체적인 조건 등은 자신의 노력보다는 타고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조건과 여건을 과장되게 자랑할 일이 아니므로 겸손하게 행동하고 고마워할 줄 알도록 지도해주세요. |
이전글 | 11-2 역할놀이로 아이와 친해지기 |
---|---|
다음글 | 10-4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