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천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부모교육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7-1 응급처치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성자 김미영 등록일 23.07.14 조회수 23

<응급처치>

 

사고가 났을 때 올바르고 신속한 응급처치를 하면 그것만으로도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응급조치 후에는 신속히 ☎119(긴급구조전화)나 병원 응급실로 연락을 해서 안전하게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

(1)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눈동자를 움직이면 부상이 심해지므로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눈에 이물질이 박혀 있다면 빼지 말고, 

다친 눈을 붕대로 감은 다음 양쪽 눈을 감는다. 이후 빨리 병원으로 옮긴다.

(2) 이가 빠졌을 때
이가 빠진 자리에 조심스럽게 다시 끼우고 치과로 간다. 만약 이를 제자리에 넣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환자의 입 속이나 미지근한 우유 속에 담아서 옮긴다. 빠진 치아를 너무 깨끗하게 씻는 것은 좋지 않다.

(3) 코피가 날 때
우선 머리를 앞으로 숙여 숨을 쉬면서 코뼈 밑 부분을 잡는다. 이때 말을 하거나 침을 삼키거나 기침을 해서는 안 된다. 10분 정도 지난 뒤에도 피가 멈추지 않으면 곧바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코피가 멎은 후에도 한동안 머리를 앞으로 굽히고 미지근한 물로 코와 입 주위를 닦으며 물리적 자극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화상을 입었을 때
화상이 심하고 상처 부위가 넓은 경우 전문치료가 필요하다. 일단 소독 거즈로 감싼 후 호흡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속하게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심하지 않을 때는 상처 부위의 옷을 가위로 자르고, 흐르는 찬물로 최소한 20분 이상 열을 식히는 것이 좋다. 상처 부위는 절대 문지르면 안 되며, 물집도 터뜨리지 말아야 한다. 상처가 심할 때는 연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5) 감전되었을 때 

즉시 전원을 끈다. 전원을 끌 수 없는 곳이라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옷차림을 갖추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건을 이용해 감전을 일으킨 물건을 환자에게서 떼어낸다. 구조 후엔 환자에게 의식이 있는지 살피고, 의식이 없으면 호흡과 맥박을 확인한다.

호흡이 멎었을 때는 인공호흡을, 맥박이 멎었다면 인공호흡과 함께 심장 마사지를 해준다. 감전은 몸의 내부에 화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의식이 있더라도 즉시 응급실로 옮겨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6) 일사병 · 열사병
일사병은 머리나 목 부분에 직사광선을 받아 생기는 병이고, 열사병은 체내의 열을 체외로 내보내지 못할 때 생기는 병이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를 서늘하고 그늘진 곳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옷을 벗기고, 젖은 수건이나 시트로 환자를 덮은 다음 부채나 선풍기로 바람을 쏘여 주면서 병원으로 신속히 옮긴다.

(7) 질식
질식하면 갑자기 숨쉬기가 힘들어진다. 또 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눈 주위가 튀어나오며 심하면 얼굴색이 파랗게 된다. 이럴 때는 환자를 공기가 맑은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의식이 없더라도 호흡이 유지되고 있으면 엎드린 자세로 서서히 회복시키는 것이 좋다. 만일 호흡이 없거나 호흡이 심하게 곤란한 상황이라면 즉시 인공호흡을 하고, 회복의 기미가 없으면 병원으로 신속히 옮긴다.

(8) 뼈가 부러졌을 때
골절 부위가 변형됐거나 뼈가 피부를 뚫고 나온 경우에는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 고정시킨 다음 구조요원을 부른다. 상처 부위는 절대 움직이지 말아야 하고, 담요나 베개를 이용해서 심장보다 높여주는 것이 좋다. 단순히 삔 경우에는 다친 부위를 탄력붕대로 넓게 감싸고 움직임을 줄이면 부은 것이 가라앉는다. 통증을 줄이는 데는 얼음찜질이 효과적이다.

(9) 손가락이 잘렸을 때
잘린 손가락은 다시 접합할 수 있으므로 사고 직후 적절히 응급조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상처부위를 눌러 피를 멎게 하고 손을 심장보다 높이 든다. 잘린 손가락은 거즈로 잘 싸서 얼음이 담긴 비닐봉지에 넣어 병원으로 신속히 운반해야 한다. 잘린 부위에는 함부로 손을 대면 안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응급처치 (한국생활가이드북, 2018. 04.)

 

이전글 9-1 무더울 때 이렇게 준비하세요(재난대비-폭염)
다음글 6-4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협력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