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천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부모교육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4-1 창의력이 풍부한 아이로 키우기
작성자 김미영 등록일 23.04.14 조회수 41

우리 아이 "창의력"키우기 위한 실천 방법

 

◈ 옆집아이와 비교하지 마라

 

“옆집 아이는 벌써 숫자를 세는데 얘는 왜 이러지?” 하는 식의 비교는 비록 아이를 사랑하고 격려한다고 하더라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부모가 비교하게 되면 아이는 놀랄 만큼 민감하게 부모의 마음을 알아차려 불안해지고 더 잘하려는 노력하게 된다. 하지만 아이의 고유일정에 따라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다른 부분의 발달에 더 집중을 할 경우, 아이의 뇌 발달은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 자기주도적인 감각체험을 많이하게 하라

 

자기주도적 감각적 놀이를 많이 한 아이는 그 감각으로 의미의 맥락을 만들기 때문에 창의력도 좋아지고, 몸의 감각과 함께 한 체험은 무의식과 연동되기 때문에 진취적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자율적 활동을 부모가 막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위험하다는 염려와 뭔가 가르쳐야 한다는 조급증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가 자기주도적인 감각체험을 할 경우 이를 막기보다는 더 많이하게 해줘야 한다. 

 

◈ 아이가 자기의견을 내세우는 것을 기뻐하고 축하하라

 

아이의 기억력과 인지력이 발달하면서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말 따라하기, 노래 부르기 등 좀 더 어려운 기능이 발달하면 아이도 자기만의 기억을 토대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가능해지고 미약하나마 ‘논리’라는 것이 생긴다.

즉, 무조건 부모의 말을 듣고 따르기 보다는 그 이유를 알고 싶어 하고 자기의 의견을 내세우게 된다. 하지만 아이가 갑자기 ‘아니야!’ 또는 ‘싫어!’ 라고 반응하기 시작하면 부모는 뭐가 잘못되었을까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 조급해질 수 있다. 

때문에 아이가 이런 반응을 보일 경우 아이가 드디어 자기 생각을 갖고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기뻐하고 축하해 주어야 한다.  

 

◈ 간섭을 최대한으로 줄여라

 

아이에게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주면 창의력을 더 발휘할 수 있다. 다시말해 과잉보호는 아이의 창의력을 파괴시키는데, 어설프게 창의력 교육을 하려고 덤비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아이폰을 만든 애플의 스티브 잡스도 양부모 밑에 자라면서 창의력을 키웠다고 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스티브 잡스의 부모는 그가 자기들보다 머리가 좋고 더 잘한다고 생각하여 가능하면 간섭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아빠의 주특기인 기계부품을 만드는 일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해야 한다고 늘 강조했지만 아이의 자유로운 생각을 간섭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처럼 아이가 답을 찾지 못해 질문을 한다면 답을 말해주는 대신 아빠가 직접 아이가 보는 앞에서 찾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한다. 

 

◈ 재촉하지 마라

 

아이가 자신의 길을 갈 수 있게 ‘보조’만 하는 아빠가 되어야 창의적이고 행복한 아이로 자랄 수 있다.

아빠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세워 아이를 재촉하는 것은 결국 아이의 삶을 갉아먹는 일이 되고 만다. 여기서부터 아빠와 아이의 갈등이 시작되고 관계가 악화되며 불행이 시작된다. 특히 아빠가 아이에게 닥치는 문제들을 너무 빨리 해결해주는 경우 엔도르핀이 주도가 되는 오피오이드시스템은 안정이 되지만 도파민시스템이 발달하지 못한다. 도파민시스템의 발달에는 자기효능감이 필요한데, 이 자기효능감은 불편한 것을 열심히 표현하였을 때 부모가 그 불편함을 천천히 해소해주면 형성된다.

아이에게는 불편한 상태에서 생각할 시간이 있어야 한다. 아이가 운다는 것은 뭔가를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너무 서둘러서 그 울음을 멈추도록 조치하면 충분히 생각할 기회를 잃고 인내력도 자라지 않는다. 

 

◈ 몰두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라

 

아이가 그림책을 읽거나 블록을 갖고 놀고 있을 때 그 일에 열중하고 있다면 그대로 두는 것이 창의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아이가 혼자서 몰두하는 일에 푹 빠질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 좋다. 부모가 놀이에 참여해야만 아이의 두뇌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은 버리자. 

아이에게는 혼자 생각하고 몰두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이전글 4-2 황사, 미세먼지 대처요령
다음글 3-2 가정에서 하는 유아 사회성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