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 2 |
|||||
---|---|---|---|---|---|
작성자 | 성효정 | 등록일 | 20.06.11 | 조회수 | 73 |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2) ▷ 아이에게 상처되는 말 - 못난이, 돼지, 깜둥이 등 신체의 특징을 가지고 놀리는 말 : 용모, 신체 등은 아이 자신도 어쩔수 없는 특징입니다. 사례) 7살난 소미는 자신감이 없고 지나치게 위축되어 또래 관계도 잘 형성하지 못하고 소극적이라 연구소에 왔습니다. 귀여운 외모이나 할머니가 어렸을 때부터 우리 못난이라고 불러 집안에서도 애칭으로 자주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소미는 자신을 매우 못났다 생각하고 자신의 외모를 매우 부끄러워하고 남 앞에 나서기 싫어했습니다. - 넌 누굴 닮아 그 모양이니? 아빠 엄마는 학교 다닐 때 공부 잘 했다. ☞ 분발하라는 의도 : 지적 능력 등이 선천적인 특성이라는 암시 줌으로서 노력을 포기하게 만들고 자긍심 잃을수도 있습니다. - 그것 봐. 엄마가 말한 대로지.☞ 부모로서의 정당화. 앞으로 말 잘 들으라는 의도 : 아이에게 결국 부모가 옳다는 것을 강조하면 자신감 잃고 의존적으로 될 수 있습니다. ▷ 꾸중할 때의 원칙 - 사람에 대해서가 아니라 행동에 중점을 둡니다. 너 거짓말쟁이구나: 단정적으로 그 사람에 대해 규정되는 것이므로 행동을 바꿀 여지를 없게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짓말하는 것은 나쁜 행동이다 라고 행동에 중점 둘 때 고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해 아이의 말을 우선 들어줍니다. 그리고 아이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었음을 이해하지만 왜 그 행동이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해줍니다. 엄마가 하지 말라고 했지 보다 남에게 피해를 주는 구체적 결과 제시해 줍니다. - 유아 일수록 매번 반복해서 설명해 주어야 합니다. - 대안을 제시합니다. 예) 뛰지 말아라 시끄럽다 → 시끄러우니 밖에 나가 놀아라 - 신체적 벌은 폭력행동에 대한 모방효과 일으키고 자녀의 수치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 로 볼 때 별 효과가 없습니다. - 지나친 추궁은 변명, 부인, 거짓말을 할 수도 있습니다. 잘못된 행동에 대한 부모의 감정을 이야기하고(네가 그러니 엄마가 속상하다) 대안행동 제시합니다. ▷ 칭찬의 원칙 - 훌륭해, 착하구나 같은 표현은 특정 사람으로 규정하는 것이므로 아이에게 부담감 줄 수 있 습니다. 행동에 중점. 구체적으로 앞으로도 실제로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 방을 깨끗이 정리해 착하구나 보다는 책을 제자리에 꽂고 장난감을 치우니 참 깨끗해 보이는 구나! - 과거의 약점이나 실수를 암시하지 않는 칭찬은 하지 않습니다. 예) 지난번에는 그렇게 하지 못했는데, 오늘은 잘 했구나! 보다는 노력을 많이 했구나. 참 잘했다. - 지나친 칭찬은 성취감 약화시키고 염려와 불안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과장되거나 막연한 칭찬은 속임수로 느껴지거나 칭찬하는 사람의 의도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6-3 우리 아이, 자신감 키워주는 방법 |
---|---|
다음글 | 6-1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1) |